‘서울 버스’ 30일 파업 예고…서울시, 비상수송대책 ‘총력’

‘서울 버스’ 30일 파업 예고…서울시, 비상수송대책 ‘총력’

노조, 쟁의 행위 찬반 투표서 찬성 의결
비상 수송 대책 본부 구성…24시간 연락 체계
지하철 173회 증회, 무료셔틀버스 운영도

기사승인 2025-04-28 18:44:02
지난해 3월27일 서울 송파구 장지동의 송파공영차고지에서 버스들이 줄지어 서있는 가운데 운전기사가 걸어가고 있다. 곽경근 대기자

서울 시내버스 노조가 쟁의 행위를 예고하면서, 오는 30일 파업 가능성이 커졌다. 이에 서울시는 비상 수송 대책을 마련했다.

28일 시에 따르면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은 이날 오전부터 실시한 쟁의 행위 찬반 투표에서 찬성으로 의결했다.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파업이다.

재적 조합원 1만8082명 중 88.2%인 1만5941명이 투표해 그중 1만5359명이 찬성하고 538명이 반대했다. 무효표는 44건이었다. 투표 인원 대비 찬성률은 96.3%, 전체 조합원 대비 찬성률은 84.9%였다.

노사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3일까지 총 9차례 중앙 노사 교섭을 벌였다.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사전 조정 회의도 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조는 협상 시한인 오는 29일 사측과 2차 조정 회의를 한 뒤, 결렬될 경우 30일 첫차부터 파업이나 준법투쟁 등 쟁의행위에 돌입할 계획이다.

시는 노조 예고대로 30일 첫차부터 ‘준법 투쟁’, ‘안전 운행 캠페인’ 등 쟁의행위가 시작될 경우 운행 지연, 배차 간격 증가 등 시내버스 운영 차질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파업을 대비한 비상 수송 대책을 미리 수립했다. 버스 운행 간격, 운행 속도, 정류소 정차 시간 등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시는 서울경찰청과 협조를 통해 조치할 예정이다. 출퇴근 시간대 주요 교통 혼잡 지역 대상 교통 경찰 배치, 버스 중앙 차로 구간 내 운행 지연 발생 시 후속 버스의 추월 조치 허용 등도 경찰에 요청할 방침이다.

서울시·자치구·버스조합은 비상 수송 대책 본부를 구성해 24시간 연락 체계를 유지한다.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 9호선, 우이신설경전철 등 교통 운영 기관과도 협력한다.

지하철은 출퇴근 혼잡 완화와 불편 사항을 해소하기 위해 1일 총 173회를 증회한다. 출퇴근 주요 혼잡 시간을 현행보다 1시간 연장해 열차 투입을 늘린다. 지하철 막차도 다음날 오전 2시까지 연장해 심야 이동을 지원한다.

지하철 출퇴근 등을 빠르게 연계하기 위해 서울 25개 각 자치구는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한다. 시내버스 운행이 중단되는 노선 중 마을버스가 다니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주요 거점에서 지하철까지 연계할 수 있도록 민·관 차량 500여대를 즉시 투입할 예정이다.

아울러 시는 파업 등 쟁의 행위 장기화를 대비해 출근 시간에 집중되는 이동 수요를 분산하고자 시내 초·중·고등학교와 공공 기관, 민간 기업 등에 등교와 출근 시간을 1시간 조정해 달라고 요청할 계획이다.

실시간 시민 안내를 위해 120 다산콜센터와 교통정보센터 토피스, 시 홈페이지와 SNS계정, 도로 전광판, 각 정류소의 버스정보안내 단말기 등을 통해 교통 정보를 제공한다. 25개 자치구도 관내 거주 시민에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가급적 전면적인 쟁의행위로 이어지지 않도록 노사 간 협의를 지속해 나갈 것”이라며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시민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비상 수송 대책 마련에도 만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예솔 기자
ysolzz6@kukinews.com
이예솔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