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7월 말부터 8월 중순까지 이어지는 여름 휴가기간 동안 1억명이 넘는 사람들이 휴향지를 찾아 이동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국토부는 7월 25일부터 8월 10일까지 17일간을 특별교통대책기간을 지정해 교통안전과 수송 대책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안전하고 편리한 여름 휴가길을 위해 관계기관 합동 ‘하계 휴가철 특별교통대책’을 시행한다고 22일 밝혔다.
국토부는 해당 대책기간 동안에는 총 1억392만명, 일 평균 611만명(전년 597만명 대비 2.4% 증가)이 이동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과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이동 할 때는 대부분 승용차(84.1%)를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며, 일 평균 고속도로 통행량은 전년(530만 대) 대비 2.8% 늘어난 545만 대로 예상된다.
한국교통연구원의 설문조사 결과, 휴가 출발 예정일은 7월26일에서 8월1일 사이가 가장 많았다. 가장 많이 찾는 국내 여행지는 동해안권(24.9%)으로 조사됐다.
이번 특별교통대책 핵심은 △원활한 교통소통 유도 △휴가객의 편의 증대 △대중교통 수송력 확대 △교통안전 강화 △기상악화 등 대응태세 강화다.
특히 국토부는 우선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해 설 명절 이후 일반국도 8개 구간(61.43km)을 신규 개통하고, 고속도로 갓길차로 53개 구간(261.12km)을 운영한다. 또한 고속·일반국도 219개 구간(2000.6km)을 교통혼잡 예상구간으로 선정해 집중 관리하고, 모바일 앱·도로전광판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교통소통 상황 등을 실시간으로 제공한다.
또한 버스·철도 등의 운행횟수와 좌석을 평시 대비 각각 13.1%(44,041회), 9.9%(256만 석) 늘려 휴각객들이 편안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게 했다.
이와 함께 국토부는 도로·철도·항공·해운 등의 교통거점·수단에 대한 사전 안전점검을 철저히 하고, AI 기반으로 선정한 도로 교통사고 주의구간(22개소)을 도로전광판에 표출하는 등 휴가길 교통안전을 강화한다.
최근과 같은 극한호우 상황에 대비해서는 지하차도에 진입차단시설·대피유도시설을 운영하고, 철도 비탈면 등에 이동식 CCTV를 통한 모니터링을 실시한다. 또 공항 내 침수 취약시설을 집중관리하고, 수해피해 복구용 자재·장비를 사전 확보한다. 이밖에 교통사고에 대비한 구난차량 등 투입 준비, 비상상황 발생에 대응하여 관계기관 협업체계를 강화한다.
국토부 엄정희 교통물류실장은 “여름 휴가철에는 교통량이 늘어나고, 집중호우 등으로 사고 위험이 증가하므로, 안전한 휴가길을 위해 교통질서를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세종=김태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