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원철 대한예방의학회 이사장은 이번 메르스 대응 활동에 대한예방의학회와 한국역학회의 역할이 두드러졌음을 강조하며 특히 전공의가 투입된 민간역학지원단의 역할이 컸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이사장은 공중보건학적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학회의 제언들이 실질적 제도마련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특히 메르스 사태 이후 국회에 발의된 감염병 관련 법안들에 대해 학회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지 않은 점을 안타까워했다. 이는 일부 법안들이 현장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하지 않은 내용이라는 지적으로 보인다.
서울시민간역학조사관으로 중심적인 역할을 한 조성일 서울대 보건대학원 교수는 “증상 발생 한참 후에 확진되는 진단 지연은 결국 접촉자를 늘리고 바이러스가 확산되는 원인이다. 이번 국내 메르스 사태에서 확진자 중 충분히 조기에 격리된 사람의 비율이 얼마인지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진단 지연, 격리 지연으로 인해 접촉자 증폭, 환자 확산됐던 국내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했다.
조 교수는 “이번 감시역학에 출입국 정보가 충분히 활용되지 않았고, 뒤늦게 의료이용정보 활용하게 됐지만 이 역시 보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는 역학조사관이 환자 발생 경로를 파악하는데 기본적인 정보 획득과 활용이 어려웠음을 짐작해볼 수 있는 부분이다.
한편 이번 학술대회 강연자들은 학문적 정리가 필요한 국내 메르스 상황에 대해 학회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하며 우리나라 메르스 사태를 통해 드러난 공중보건학적 취약성이 반드시 재정비돼야한다는 공통의 목소리를 냈다. kubee08@kukimedia.co.kr
[쿠키영상] 가슴 드러낸 여성들 사진 찍기에 급급한 남성들…美 뉴욕 토플리스 시위
[쿠키영상] '하늘 나는 미쉐린?' LA 하늘에 나타난 기이한 물체의 정체는 UFO?
[쿠키영상] 들개-하마-임팔라 신경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