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지역으로 경북 성주와 경남 양산, 충북 음성 등이 물망에 오르자 각 지자체에서 반대 움직임이 일고 있다.
경북 성주군과 군의회는 11일 기자회견을 열어 “성주 군민들의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는 사드 배치를 강력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군민들의 생존과 자주권 확보를 위해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결사 저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 성주 지역은 공군의 호크 미사일 방공 기지가 있어 유력한 후보지로 꼽힌다.
경남 양산시 시의회도 이날 오후 기자회견을 통해 “양산이 사드 배치 장소로 거론되는 것에 분노한다”는 성명을 내놨다.
정경효 양산시의회 의장은 “양산시는 한반도 동남단 끝쪽에 위치해 사드를 양산에 배치할 경우 수도권을 방어할 수 없다”면서 “천성산 일대는 31만 인구 밀집지역인 데다 800만이 사는 부산·울산광역시와도 밀접해 적절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같은 날 충북 음성군 설성공원에서도 주민 3000명이 참석해 사드음성배치반대 궐기대회를 갖고 “160만 충북 도민의 생존권을 위협하고, 생명의 땅 충북을 죽음의 땅으로 만드는 사드 배치를 강력히 반대한다”고 주장했다.
앞서 9일 미군기지가 있어 유력 후보지로 뽑혔던 경북 칠곡군에서도 군민 3000명이 군청에 모여 사드 배치 반대 결의대회를 열었다.
백선기 칠곡군수는 “단순히 미군 부대가 있다는 이유로 칠곡에 사드를 배치한다는 건 어처구니없는 발상”이라며 삭발을 감행했다.
한국과 미국 양국은 지난 8일 기자회견을 열어 “한미동맹 차원에서 주한미군에 사드체계를 배치하기로 했다”며 “효용성·환경·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최적의 부지를 선정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사드 배치 지역은 이미 지난 6월 말에 국방부가 검토를 마쳤으며, 이달 말 발표될 예정이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