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확진 받은 새끼오리 유통이 말이 되나…정부 대처 미흡에 살길 막막”

“AI 확진 받은 새끼오리 유통이 말이 되나…정부 대처 미흡에 살길 막막”

기사승인 2016-12-21 15:29:40 업데이트 2016-12-21 15:29:45

[쿠키뉴스=이소연 기자] 조류인플루엔자(AI)로 피해를 본 농민이 정부의 미흡한 대처를 비판했다. 

전남 구례에서 오리 농가를 운영하는 박종표씨는 21일 오전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 출연해 “초기 대응이 미흡해서 AI가 전국적으로 확산됐다고 생각한다”면서 “저 같은 경우에는 AI 확정 판정을 받은 어미 오리가 낳은 새끼를 분양받아 농장에 있던 2만 마리를 모두 살처분했다”고 밝혔다.

박씨는 “타 지역의 경우 AI 확진 판정을 받은 어미가 낳은 새끼 오리들은 발병 전 추적해 모두 강제 매몰시켰다”면서 “저희 농장에는 도가 달라지면서 연락이 안 됐다. 정부의 대응이 정말 속 터진다”고 토로했다. 

이어 “담당 공무원과 담당 부서에서 발병 전에 빨리 대처했다면 피해가 없었을 것”이라며 “어떤 지역은 조치를 하고, 어떤 지역은 두고 보고. 이게 무슨 행정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피해를 본 농민들이 구제를 받을 길이 막막하다는 문제도 제기됐다. 

박씨는 “(AI 확진 받은 새끼 오리를 분양한) 회사와 백날 싸워봐야 ‘당신들 잘못으로 인해서 발병한 것’이라고 하면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며 “소송 과정에서 들어가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시점에서 오리 사육을 포기하려 생각 중”이라며 “농장 재가동을 위한 정리 기간이 1년 가까이 되기에 농장주들은 버틸 수가 없다. (AI 피해가 막대했던) 지난 2014년에도 농장을 포기하고 인력사무소에 나가 근근이 생활하시던 분들이 다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지난달 16일 AI가 처음 발생한 후, 닭 1516만7000마리, 오리 191만2000마리가 살처분됐다. 지속적으로 피해 농가가 늘어나고 있어 사상 최대 규모의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 15일 대국민담화를 통해 AI 위기경보 단계를 ‘경계’에서 ‘심각’ 수준으로 격상한 바 있다.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
이소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