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5일 우리금융지주 민영화 계획을 밝혔다.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지분 18.3%를 3년(2020~2022년)안에 2~3회에 걸쳐 최대 10%씩 분산매각하기로 했다.
정부는 다만 공적자금 회수를 위해 고려해온 우리금융 주가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주가가 안정권에 있으면 예정대로 처분하겠다는 방침이다. 금융 산업 발전을 위해서라도 민영화를 더 이상 미룰 수 없다고도 했다.
이를 두고 여러 반응이 나오는데 우선 주가가 오르지 않으면 정부는 지분을 팔지 않을 것이라는 해석이다. 반대로 주가가 오르면 언제든 지분을 넘기겠지만 이는 곧 우리금융 역할을 강요하는 것과 다를 바가 없다는 지적이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한 주당 1만3800원이면 공적자금을 100% 회수할 수 있다. 우리금융은 25일 1만3950원에 장을 마감했다. 그러나 3년이라는 유예기간 동안 주가가 현 수준에서 반드시 머무를 순 없기 때문에 현재로선 기업가치 극대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정부도 이른바 ‘헐값’ 이슈에서 자유로우려면 무작정 처분할 수만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지배구조 등 후폭풍이 예고되는 사안은 일절 관여하지 않으려는 것을 보면 정부는 매각 시기만 목놓아 기다리는 것처럼 보인다. 정부는 이미 내년 상반기 1회 차 매각개시를 앞두고 있다.
우리금융도 분주해졌다. ‘데드라인’에 맞추려면 지주체제를 서둘러 완비하고 순항하는 수밖에 없다. 손태승 우리금융 회장도 동분서주하고 있다. 해외로 IR을 다니고 최근에는 신탁회사를 인수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