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윤소하 원내대표는 1일 국회본청 223호에서 열린 169차 상무위원회에 참석해 “지난주 교섭단체 3당 원내대표 회동에서 양대 특위의 연장이 합의됐다. 그러나 형식적으로 보면 가장 중요한 핵심은 정의당이 맡고 있는 정개특위 위원장을 교체하는 것이었다는 게 세간의 평가이다. 이는 불신임 직전의 나경원 원내대표를 살리고, 정의당의 심상정 정개특위 위원장을 버린 선택”이라고 비판했다.
윤 원내대표는 “제가 본회의장에서도 지적했지만 오늘도 이에 대해 매우 강력한 항의를 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중대한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패스트트랙 관련 여야4당 합의 당사자인 정의당 등을 배제하고 교섭단체 대표들, 특히 핵심 키를 쥐고 있는 민주당은 정의당에 사전 협의는커녕 사후에도 어떠한 설명도 없었다. 이러면서 어떻게 개혁공조를 이어가겠다는 것인가”라고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이어 윤 원내대표는 “여야4당은 개혁에 반발하는 한국당을 넘어 개혁을 완수하기 위해 패스트트랙을 결단하고 추진해왔다. 그렇다면 여야4당의 자리를 마련해서 동의를 먼저 구해야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국회 정상화와 특위 연장 문제도 논의했어야 한다. 그러나 정반대로 오히려 불법적인 방식으로 합법적인 패스트트랙을 막으려 했던 개혁의 대상인 한국당의 잘못된 행태를 바로잡기는커녕 또 하나의 밀실에서 면죄부를 주면서까지 정개특위 위원장을 교체하기로 한 것은 여전히 납득할 수 없는 것이다. 향후 이런 식의 기본원칙도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도 없이 오직 자유한국당의 떼쓰기에 끌려 다닌다면 개혁전선은 와해될 수도 있음을 민주당은 똑똑히 알기 바란다”고 비판했다.
이영수 기자 juny@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