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한표의 사진 하나 생각 하나] 나는 무엇으로 존재하는가

[박한표의 사진 하나 생각 하나] 나는 무엇으로 존재하는가

박한표 (우리마을대학 제2대학 학장)

기사승인 2021-02-06 11:22:34
박한표 학장
나는 무엇으로 존재하는가? 그 기준은 행동과 욕망이다. 쉽게 말하면, 나란 누구인가를 알려면. 나의 욕망과 행동을 살펴보면 된다는 말이다. 그리고 자신의 운명을 바꾸고 싶으면 욕망과 행동을 바꾸면 된다. 그런데 왜 안 할까? 철학이 없기 때문이다. 인식과 사유라는 정신활동을 하지 않으면 행동의 패턴이 절대 안 변하기 때문이다.
 
인간이라는 존재는 가장 일차적으로 욕망의 지배를 받는다. 이때 욕망은 충동에 가깝다. 삶을 능동적으로 추동하는 것이 아니라, 감각적 쾌락을 증식하는 쪽으로 나아가기 때문이다. 게다가 무엇이든 내 것으로 소유하고, 거기에서 오는 쾌락을 만끽하고, 그게 뜻대로 안 되면 화를 내는 식의 패턴을 갖는다. 그리고 그러한 패턴을 자기 자신이라고 여긴다. 그런데 그게 어리석음이, 불교 용어로 말하면, 무명(無明)이다. 본성을 완전히 가리고 있다는 뜻이다. 

우리는 태양이나 산과 들로부터 공짜로 얻는 게 많다. 그러니 우리는 늘 감사하는 마음을 잃지 말아야 한다. 그런데 자본주의 속에서는 돈이 돈을 낳는다는 사실만 믿기 때문에, 우리는 자연과의 연결고리가 끊어졌다. 오로지 박탈감만 느낄 뿐이다. 그래 현대 인들은 벌어도 벌어도 불안해 한다. 그들은 스펙이나 재산하고 등가가 되어 버렸다. 나란 존재가 화폐로 환원되니까, 자존감이 떨어진다. 그래 도박이나 성에 중독되거나 다른 이들 한테 갑 질을 한다. 그리고 소유와 쾌락을 중심으로 욕망을 추구하다 보니 늘 불만족이다. 

이 사슬을 끊으려면 욕망과 행동의 동선(動線)을 다시 그려 보아야 한다. 고립과 단절이 아니라, 대칭성을 회복하는 방식으로 동선을 재배치해야 한다. 욕망 그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다만 그것이 소유와 증식을 향해 나아갈 때, 그리고 쾌락의 무한질주를 하기 시작할 때가 문제이다. 게다가 자본주의가 더 부추긴다. 그러니 그 구조와 사슬을 철저하게 성찰하고 그런 욕망의 궤도를 자아라고 생각하는 착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소유와 쾌락은 생명의 본성과는 거리가 멀다. 거기서는 창조가 아니라, 쾌락 혹은 퇴행이 일어난다. 그러니까 행동의 동선을 다시 그려야 한다. 그러려면 욕망도 재구성되어야 한다. 

나는 늘 다음과 같이 생각한다. 인간의 욕망은 원심력의 속성이 있고, 인간의 본성은 중력때문에 구심성의 속성이 있다. 그러니까 우리의 욕망은 점점 더 커지고 높아지려 한다. 그러니 우리는 원심력을 타고 자신의 본성이 이탈하려는 욕망을 중심 쪽으로 끌어내려야 한다. 그래야 균형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필요한 것이 절제하고 검소한 생활을 하면서, 늘 내면을 들여다보는 성찰이다. 그것이 철학하는 것이다. 철학은 수행과 영적 훈련을 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밖에 없다. '철학 한다'는 것이 철학사를 정리하는 게 아니다. '철학 한다'는 말은 내 욕망의 심연을 탐구해서 행동의 리듬을 바꾸는 것, 욕망과 행동의 조화로운 일치를 시도하는 것이다.

대전현충원.

공수래 공수거(空手來 空手去), 빈손으로 왔다 빈손으로 간다! 이게 인생 법칙이다. 어느 사찰 입구에 “아니 오신 듯 다녀가소서”라 쓰여 있다 한다. 그렇다. 코앞의 이해득실에 목숨을 걸고 계급적 이익을 관철하고자 해 봤자, 인생 석양엔 모두 빈손으로 간다. 오늘 사진은 대전 현충원 둘레길에서 찍은 것이다. 

이젠 어떻게 살 것인가 이야기를 해본다. 우리가 어떤 사람에 대해, "성실해", "착해", "모범적이야", 이렇게 평가하는 것은 자본주의적 균질화의 산물이다. "그냥 자본, 국가, 가족을 유지하는 데 열심이다" 정도이다. 중요한 것은 그런 실천과 행동이 어디를 향하는 가이다. 방향이 중요하다. 그것이 자기에게도 좋고 남들에게도 좋은 것, 다시 말해 자유와 해방을 위한 것이라면 설령 실천의 수준에서는 미비하다 할지라도 윤리적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게 인정욕망이나 소유욕에서 비롯된 것이라면 아무리 착한 행위를 했다 해도 그건 예속을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자유와 해방으로 나아가야 한다. 열심히 살고 성실하게 살면서 스스로를 얽어매는 방향을 취하고 있다면, 그건 비윤리거나 반윤리라 말할 수 있다. 윤리는 도덕과 다르다. 도덕은 그 시대의 상식적 규범이나 관습적 명령이라면, 윤리는 훨씬 더 근원적인 것이다. 생명의 원리와 연결되어야 한다. 생명의 척도는 자율성과 능동성이기 때문이다. 그래 윤리적이라는 말은 자율성과 능동성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선악이나 시비, 또는 동정이나 연민 등과는 질적으로 다른 가치이다. "윤리는 탈물질 세계의 도덕이다."(이순석). 

보통의 상식과는 달리, 철학과 윤리, 영적 비전 같은 것은 생존에 아주 필수품이다. 수많은 타자들과 교감할 수 있는 무기이기도 하다. 인생은 결국 관계와 배움, 두 가지가 전부라고도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관계와 배움을 통해, 매 순간 인생과 세계에 대해서 깨달어 가고, 그럴 때만이 자유를 향해 나아갈 수 있다는 말이다. 우리는 그 자유의 지평선을 향해 달려가는 것을 '비전'이라 한다. 

그럼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까? 소유, 성공, 쾌락을 향하고 있다면 멈추어야 한다. 왜냐 하면 거기에는 길이 없기 때문이다. 그것을 얻은 다음에는 허무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주변에 성공한 다음에 도박, 성, 폭력 등으로 삶을 무너뜨린 사람들이 꽤 있다. 그건 예속을 강화하는 길이다. 소유와 쾌락의 방향은 노력의 대상이 아니다. 가만히 있어도 절로 그쪽으로 몸이 움직인다. 그래서 충동이라고 한다. 그 충동의 제어하는 것이 철학이다.
최문갑 기자
mgc1@kukinews.com
최문갑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