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민이라고 밝힌 청원인은 3일 청와대 국민청원에 '권영진 대구시장의 공식 사과를 요청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더이상 쪽 팔려서 대구에서 살 수가 없어 청원을 남긴다"고 말문을 열었다.
청원인은 "일개 무역회사의 연락을 받고 화이자 백신 구매를 정부에 주선하겠다고 했다"며 "백신이 해외직구 상품도 아니고 보따리상 밀수품도 아닌데 어찌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누가 봐도 상식적으로 안될 일을 한 것은 자신의 정치적 야욕을 위해 움직인 것이며 그로 인해 시민들은 타도시로부터 손가락질 받는 불쌍한 신세가 됐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홍보는 주도적으로 해놓고 이제와서 발 빼는 모습을 보인다"며 "백신 도입 추진 과정에서 대구시가 어떤 역할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밝혀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해당 청원은 4일 오전 6시20분 현재 1179명의 동의를 얻었다. 사전 동의 100명 이상이 돼 관리자가 공개를 위한 검토중이다.

권 대구시장은 1일 코로나19 범시민대책회의에서 "백신 수급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걸 알고 메디시티대구협의회에서 다양한 경로로 도입을 추진해왔고, 최근에 가시적인 단계까지 왔다"고 말해 주목 받았다.
이와 관련해 손영래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화이자는 전 세계적으로 각국 중앙정부와 국제기구에만 백신을 공급하고 있고 어떤 제3의 단체에도 한국에 백신을 판매 유통하도록 승인한 바 없다"고 설명했다.
또 "대구시에서 연락한 무역업체는 공식 유통경로에 있는 업체도 아니고 해당 제안은 화이자-바이오엔테크 백신에 대한 거래가 아닌 것으로 파악돼 진위 여부가 의심되는 상황이다"며 말했다.
아울러 "화이자 본사 쪽에서 이 무역업체 진위 여부를 파악 중이며 국제 수사기관과 협력해 조사를 해보고 불법 여부 있다면 가능한 법적 조치까지 취하겠다는 입장을 전달받았다"고 덧붙였다.
권 대구시장은 지난달 자신의 SNS에 정부 백신 대책을 비판하며 "우리가 어쩌다가 국군 장병 55만명분의 백신을 미국으로부터 원조받았다고 감읍해야 하는 나라가 됐나"라면서 "개념 없는 정치야, 무능한 정부야, 비겁한 전문가들아"라고 비판해 논란이 일은 바 있다.
jihy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