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의원은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감사원 사람들의 말을 들어보면 (최 원장은) 애초에 문재인 정부와 결이 많이 달랐다고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일본과 무역분쟁이 일어났을 때 '일본하고 이러다가는 나라 망한다'는 식이었다고 한다"고도 부연했다.
김 의원은 "최 원장은 처음부터 어색했다"며 "반부패정책협의회 등 청와대 회의에 참석해도 침묵으로 일관했다. 쉬는 시간에도 주변 사람들과 어울리는 모습을 본 적이 없다. 내내 불편한 기색이 역력했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최 원장에 대해 "우리 사회 구주류(舊主流)의 '총아'가 될 자격이 차고 넘친다"고 평했다.
이어 "경기고, 서울대 법대, 판사 경력에 독실한 기독교인"이라며 "친인척들은 그가 생각의 성벽을 견고하게 쌓는 데 크게 기여했을 것이다. 월성 1호기에 대한 '정치적 감사'는 이런 정서와 배경에서 싹텄으리라"라고 했다.

그는 문 대통령이 "우리 스스로가 주류의 폭을 넓혀야 한다"고 했던 발언을 소개하면서 "문 대통령이 일면식도 없는 최재형, 윤석열을 중용한 건 이런 마음에서 나온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노무현 대통령 때 사람 쓰는 폭이 좁아 정치적으로 곤궁해졌던 데 대한 반성도 담겨있으리라 짐작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모든 개혁에는 저항이 따른다. 문재인 정부의 정책에 가장 완강하게 저항하고 있는 세력이 검찰과 원전 마피아다, 윤석열(전 검찰총장)과 최재형은 이 세력들을 대표한다"며 "두 사람의 도전은 개인의 선택이라기보다는 개혁 세력과 저항 세력이 맞서고 충돌하면서 빚어진 필연적 결과"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문 대통령이 개혁을 추진하지 않았다면 '윤석열의 난'도 '최재형의 난'도 없었을 것"이라며 "또 개혁의 기치를 내걸면서 우리 편만 골라 썼다면 진즉에 레임덕이 왔을지도 모른다"라고 했다.
jihye@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