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뉴스] 노상우 기자 = 오는 11월 정부가 시행할 ‘단계적 일상회복’과 관련해 ‘보건·의료인력확충’이 전제조건이 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박건희 경기도감염병관리지원단 단장은 25일 열린 ‘코로나19 단계적 일상회복 이행계획 공청회’에서 “구체적인 보건의료인력 확충 계획없는 일상회복은 없다. 감염병과의 전쟁에 잘 대비하기 위해선 공중보건 상비군을 유지하고 훈련하는 게 필요하다. 전국 250여개 보건소에 3000명의 인력을 추가채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현재 보건소는 진단검사, 방역, 예방접종, 역학조사, 접촉자 관리, 격리자 모니터링 등 코로나19와 관련된 전반적인 업무 수행에 나서고 있다. 박 단장은 “보건의료인력의 소진이 상당하다. 이를 어떻게 지속할지 우려하는 사람들도 많다”며 “예방접종률이 높더라도 감염이 급격히 확산될 수 있다. 보건의료인력을 제외한 다른부분에서만 일상회복이 돼선 안 된다”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보건소 인력 3000명을 추가 채용한다면 연간 2000~3000억원의 예산이 소요되지만, 확진자 수가 급증해 거리두기가 강화될 때 생기는 피해에 비해 아주 작은 비용”이라며 “코로나 종료되면 보건소 인력의 업무가 없어질 것으로 생각하는데, 70년간 발생하지 않았던 전쟁에 대비하기 위해 군인을 유지하고 훈련하는 것과 같이 감염병과의 싸움을 위한 공중보건 상비군을 유지하고 훈련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재갑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감염내과 교수도 의료인프라에 대한 충분한 투자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궁극적인 의료체계 회복을 염두에 두고 조용해야 한다. 외래에서 환자를 보고 병상에 입원하는 등 의료전달체계를 회복해야 한다”며 “그런 체계를 만들기 위해선 병상확보뿐 아니라 병원, 외래, 의료인력 양성 등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이슈가 많다. 지금껏 방역이나 경제에만 예산이 쓰였지만, 의료체계 개편을 위한 투자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우리가 단계적 일상회복을 2~3개월 내에 한다고 생각하면 (큰 변화가 없어) 실망할 수 있다”며 “단계적 일상회복은 안전하게, 앞으로의 미래를 바라보고 가야 한다. 단긴간에 끝낼 것으로 예상하지 말고 1~2년 기나긴 시간을 두고 점진적으로 해야 한다”고 밝혔다.
nswreal@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