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내 주변을 보면, 많이 가지고 행복해하는 사람들은 드물다. 혼자 생각에 저 정도 가졌으면 기쁘고 행복하기만 한 삶을 살며, 남과 나누며 살아도 될 법한 데 신기하게 그러지 못하다. 어쨌든 가지고 가지지 않고 그러니까 마음이 가난한 것은 소유한 재화의 양의 문제가 아니다. 그 집착의 정도가 문제일 뿐이다. 나는 가난해 오히려 행복하다. 그래 변방으로 탈주했고, 거기서 원하는 사람들을 만났고, 특히 속이 편해져 내 주변의 모든 것에 감사할 줄 알게 되었다. 저녁이 되면, 한 잔의 와인과 <복합와인문화공방 뱅샾62>에 오시는 분들과 나는 행복해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그것이 무엇이든 그것은 잠시 내게 머무는 것일 뿐, 결코 내 것이 아니니 그것이 내 것이라는 집착을 버리는 작업부터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 다른 이야기이다. 100살을 넘기신 김형석 교수는 지금도 활동이 왕성하다. 그러나 하시는 말씀이 '너무' 반복되고 진부하여 지금은 새롭지 않지만, 100살이 넘도록 강의를 하시고 글을 쓰시는 모습이 존경스럽다. 그분이 그러셨다. 100을 살며 되돌아 보니 인생의 가장 황금기는 65세에서 75세 사이였다 하셨다. 나는 아직 그 나이에 이르지 않았지만 60을 넘어보니, 그 말씀에 동의한다. 미국 경제학자 데이비드 블랜치파워 교수가 제시한 인생의 행복 곡선은 47-48살을 최저점 삼아 반등한다고 했다. 정확히 말하면, 선진국의 경우는 47.2살, 개발도상국은 48.2살이다. 이미 여러 연구자료들도 40대에서 50대까지 걸치는 일정 시기를 생애주기 별 'U'자형 행복 곡선의 바닥으로 지목했다. 개인의 경험에 따라 예외는 있고, 처한 상황에 따라 바닥의 높이는 다를 수 있겠지만 평균적으로는 부와 건강,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이 시기의 불행감이 가장 크다고 한다. 'U'자형 행복곡선의 양쪽 끝에는 어떤 연령이 있을까? 통상적으로 왼쪽 끝에는 20 언저리가 놓이고, 오른쪽 끝에는 60대 중반부터 70대 초반을 아우르는 10여년이 있다. 흥미롭다.
왜 60대 중반부터 70대 초반일까? 노인의학 전문의인 후이즈 앤더슨은 자신의 저서, 『나이듦에 관하여』에서 시인 메리 루플을 인용한다. "(늙었다고 남들이 무시하거나 외면하는) 투명 인간이 되는 순간 눈앞에는 무한한 자유의 세상이 펼쳐진다. 내게 이래라 저래라 할 만한 인물들은 다 사라진 지 오래다. 부모님도 이미 돌아가셨다. 부모의 죽음은 가슴 아픈 일이지만 해방의 결정적 계기이기도 하다." "이제 더 이상 나를 주목하는 사람이 없다는 사실에 대한 객관적 인식, 스타나 벼락부자나 석학의 꿈을 버려야 할 시점이 왔다는 냉철한 감각이 불행의 구렁텅이에서 중년을 구원한다는 말이다."
공지영 작가는 이렇게 말한다. "하루라도 젊은 시절의 고난과 고통은 덕이 된다. 나이 들어 겪는 고통은 힘겹다. 실제로 고난과 고통을 이겨내서 성장의 동력으로 만들어내는 데에는 체력도 필요하다. 오늘 당신은 당신의 인생에서 가장 젊다. 그러므로 오늘의 고통은 당신에게 유익하다. 이 말을 믿는다면 그때부터 기승을 부리던 고통은 약간 누그러지게 될 것이다." 그렇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마음을 비우면 비로소 세상이 보이고, 비우고 나면 다시 무언가 채워진다. 마음과 물질이 아닌 영혼 깊이 모두를 비워내다 못해 긍휼과 사랑으로 가난하게 되어야 천국을 소유하게 된다. 재물이 부자인 사람은 근심이 한 짐이고, 마음이 부자인 사람은 행복이 한 짐이다. "천국과 지옥은 마음먹기에 달렸다."(레오나르도 다빈치).
'위에 견주면 모자라고, 아래에 견주면 남는다'는 말이 있듯이, 행복을 찾는 오묘한 방법은 내 안에 있다. 하나가 필요할 때는 하나만 가져야지 둘을 갖게 되면, 애초의 그 하나 마저도 잃게 된다. 그리고 인간을 제한하는 소유물에 사로잡히면, 소유의 비좁은 골방에 갇혀 정신의 문이 열리지 않는다. 작은 것과 적은 것에 만족할 줄 알아야 한다. 그것이 청빈의 덕이다. 나는 '청빈(淸貧)'이라는 말을 좋아한다. ‘청빈’하려면 만족할 줄 알고, 나눌 줄 알아야 한다. 청빈의 원래 뜻은 ‘나누어 가진다’는 것이다. 청빈의 반대는 '부자'가 아니라, '탐욕'이다. '탐(貪)자'는 조개 '패(貝)'자에 이제 '금(今)'자로 이루어져 있고, '빈(貧)'자는 조개 '패(貝)'위에 나눌 '분(分)'자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니까 탐욕은 화폐를 거머쥐고 있는 것이고, 청빈은 그것을 나눈다는 것이다.
준다는 것은 신비하다. 우리는 주면서 대가를 바란다. 그래 진짜 준다는 것은 오로지 모르는 사람에게만 그리고 철저하게 가난한 사람에게만 대가 없이 줄 수 있다.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는 행복의 파랑새를 쫓느라 발 밑은 바라볼 줄 모른다. 행복은 멀리, 높이 있지 않다. 내가 내딛는 작은 발걸음에 행복으로 향하는 계단이 놓여 있다. 그저 한 발 내닫기면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