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은 환자들이 정신건강의학과를 찾게 되는 대표적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2019년 한해 약 80만 명이 우울증으로 치료를 받았다. 우울증 환자는 최근 5년간 연평균 7%씩 증가해 2019년 한해 동안 약 80만명이 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 환자 가운데 여러 차례의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치료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를 ‘난치성 우울증’으로 진단할 수 있다. 여러 조사 결과 및 통계에 따르면 국내 우울증 환자의 30%는 난치성 우울증으로 추정된다. 우울증 환자의 3명 중 1명은 치료에 어려움을 겪는 셈이다.
양극성장애·성격장애 등 타 정신질환으로 진단받지 않은 우울증 환자 가운데, 최소 2가지 종류 이상의 경구용 항우울제를 충분한 용량으로 충분한 기간 동안 복용했지만 호전되지 않는 경우 난치성 우울증 치료 대상으로 볼 수 있다. 항우울제를 이용한 약물치료의 경우, 효과가 없는 치료법을 계속 유지하는 것보다는 치료 반응에 따라 탄력적으로 치료법을 변경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나경세 가천대 길병원 난치성 우울증 클리닉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우울증은 단편적인 진료 및 치료를 넘어 지속적인 정신건강 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난치성 우울증 환자들은 전문화된 클리닉을 통해서 심화된 검사 및 평가, 적합한 치료, 관리를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난치성 우울증 치료를 위해서는 약물치료와 더불어 전기경련치료(ECT)와 경두개자기자극술(TMS) 등 신체치료요법 등을 고려할 수 있다. ‘스프라바토 나잘 스프레이’를 코(비강)에 분무하는 방식의 치료도 시행된다. 주성분인 에스케타민이 우울증 관련 뇌신경전달물질(글루타메이트)에 작용해 뇌구조적인 변화를 신속히 일으키는 원리다.
나 교수는 “급성 자살 생각 또는 행동이 있는 중등도-중증의 주요우울장애 성인 환자의 우울 증상을 빠르게 개선하기 위해 먹는 항우울제와 병용해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나 교수에 따르면 치료는 하루에 5분 간격으로 1~3 디바이스 분무, 1주일에 2~3회 간격으로 총 1~3개월 가량 시행된다. 투약 후 해리, 진정, 혈압 증가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2시간 동안 의료기관에서 관찰이 필요하다. 우울증의 속성과 경과에 따라 6개월 이상 치료를 권장하는 경우도 있다.
뇌에 직접 자극을 주는 신체치료도 고려해 볼 수 있다. CT 치료의 경우 머리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전기를 흘려 인위적인 경련을 유발시키는 요법으로, ‘우울증에 걸린 뇌를 초기화시키는 방식’의 치료법이다. 자극 강도가 높아 입원 후 전신마취 하에 안전하게 시행하며 일주일에 2~3회, 총 2~6주 치료가 필요하다.
머리에 자기장을 쏘여 뇌신경계통의 회복을 도와주는 TMS는 마취나 약물이 투여되지 않아 임산부도 특별한 합병증이 없으면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다. 매일 1회 30~60분 정도, 일주일에 5회, 총 3~5주 치료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나 교수는 “우울증은 일상 생활과 직업 활동 등 삶의 전반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난치성 우울증 환자가 적절한 시기에 전문화된 치료를 받고 상태가 호전되는 것은 개인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갖기 때문에 환자들이 건강한 일상을 되찾게 하기 위한 적극적인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성주 기자 castleowner@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