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오후 4시 기상청에 따르면 힌남노는 오는 5일 오후 3시 ‘매우 강’ 강도로 서귀포 남남서쪽 약 350㎞ 부근 해상을 지난다. 힌남노의 최대 풍속은 초속 50m로 예상된다. 바람에 사람이나 커다란 돌이 날아갈 수 있다. 다음날인 6일 오후 3시 부산 북동쪽 약 180㎞ 부근 해상으로 지나 7일 오후 일본 삿포로 서남서쪽 약 280㎞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소멸한다.
정부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를 선제적으로 가동하겠다는 방침이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행정안전부와 해양수산부, 소방청, 경찰청, 해양경찰청, 산림청 등 관계부처와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철저한 대응을 지시했다.
힌남노를 가장 먼저 맞게 될 제주는 비상 1단계 근무에 돌입했다. 상황별 비상 체계를 가동하고 유관기관과 인력·물자 동원을 위한 협조 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재해 우려 지역에 대한 예방순찰과 점검도 진행된다. 제주도교육청은 오는 5~6일 각 학교에 재량휴업과 단축수업, 원격수업 전환 등을 학교장 자율로 결정하도록 했다. 학생 안전을 위해서다.

서울과 경기, 강원, 충북, 전남, 세종 등 각 지방자치단체도 긴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 태풍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점검을 진행한다. 전남도는 전 공무원이 오는 3~4일 주말 비상근무에 돌입한다.
이소연 기자 soyeo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