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세 이전 미디어 노출은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림대학교 동탄성심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성구 교수 연구팀은 SCI급 국제 저널인 ‘Global Pediatic Health’에 게재한 ‘미디어 노출이 아동의 사회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논문을 통해 이 같은 결과를 전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3년 7월부터 2019년 3월까지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신경발달행동치료센터에서 사회성 발달 지연으로 치료받은 96명과 대조군 101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노출 시간과 시기, 형태에 대한 양육자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두 그룹의 평균 연령은 34-36개월이었으며, 남아가 여아보다 2.6배 많았다.
분석 결과 2세 이전 미디어 시청 아동의 비율은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 95.8%, 대조군에서 59.4%를 기록했다. 평균 미디어 시청 시간을 살펴본 결과에서는 2시간 이상 시청한 아동의 비율이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 63.6%였고, 대조군에서는 18.8%를 차지했다.
더불어 아이 혼자 미디어를 시청한 비율은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 77.1%, 대조군에서는 38.6%로 나타났다.
영어교육과 동화프로그램 등 교육 프로그램을 시청한 비율은 사회성 발달 지연군보다 대조군에서 높게 나오기도 했다.
아이에게 미디어를 시청하도록 한 이유를 놓고 봤을 때 ‘아이 달래기’와 ‘부모의 우울·건강문제·맞벌이’가 사회성 발달 지연군에서 각각 26.5%와 55%로 나타났다. 대조군에서는 7.4%와 41.3%였다.
이번 연구에서 ‘2세 이전’, ‘2시간 이상’, ‘부모 없이 단독’으로 미디어에 노출되는 것은 사회성 발달의 위험 요인으로 분석됐다.
미디어 노출과 아동 신경발달의 관련성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2세 이전 미디어 노출에 대해서는 미국 소아과학회에서도 권장하지 않고 있다. 실제 MRI를 이용한 관찰 연구에서도 아동이 미디어에 노출될 경우 인지 과정을 자극하지 않고 주로 시각피질을 자극했으며, 사람과의 상호작용이 뇌 발달을 훨씬 더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성구 교수는 “최근 사회성 발달 지연과 관련된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유병률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만큼 미디어 노출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전했다.
이어 “어린 나이에 긴 시간 미디어에 노출되면 부모와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며 창의적으로 놀 수 있는 시간이 줄게 된다”며 “유아의 기억력, 주의력, 인지력의 한계와 미디어의 일방향성으로 인해 뇌 발달 민감기에 부정적 영향을 끼쳐 사회성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발달 지연이 있는 아이는 부주의하면서 지나치게 활동적으로 행동하기 때문에 부모들이 양육에 어려움을 겪고, 이러한 가정에서 미디어 노출이 더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영유아가 미디어를 시청하더라도 보호자와 상호교류를 가지며 제한된 시간에 교육적 프로그램을 시청하면 사회성 발달 지연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