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있는 가정은 집을 고를 때 자녀교육 여건을 가장 우선하며, 이런 성향은 소득이 높을수록 뚜렷하게 나타났다.
국토연구원은 21일 3040 연령대 자녀 양육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응답자 62.6% 자가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가 거주 비율은 △도지역(71.3%) △광역시 등(68.6%) △인천·경기(60.2%) △서울(44.5%) 순이었다.
자가가구는 현재 거주하는 주택 구입 시 본인 또는 배우자 자금 56.0%, 금융기관 등 대출 36.1% 등으로 마련한 걸로 조사됐다.
금융기관 등 대출금을 상환하고 있는 가구의 월평균 원리금 상환액은 72만7000원 수준이며 주거관리비를 포함한 주거 관련 비용은 월평균 소득의 약 18.8%였다.
응답자들은 주택 면적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2.82점)을 보였다. 주택 간 소음 만족도(2.69점)와 주차공간 만족도(2.55점)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서울 거주 가구는 다른 지역보다 주택 만족도가 낮았다. 주택면적(2.63점)과 주택 간 소음(2.59점) 만족도 역시 다른 지역대비 낮았다.
살 집을 고를 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자녀교육 여건(32.4%)이었다. 다음으로 △주택 및 임차료(24.4%) △직장과의 거리(17.1%) 순이었다.
소득이 높을수록 주택 선택 시 자녀교육 여건 중요도가 높아지고 소득이 낮으면 주택가격 영향력이 커졌다.
소득별로 보면 △소득 300만원 미만 27.2% △300~500만원 29.8% △500~700만원 34.3% △700만원 이상 34.9%였다.
평균 자녀 수는 1.8명, 첫째 자녀 평균 연령은 10.1세였다. 평균 결혼 연령은 29.4세, 첫 자녀 출산 평균 연령은 31.0세로 나타났다.
응답자 9.6%만이 향후 출산 의향이 있다고 밝혔다. 서울(11.5%)과 광역시(10.1%)에 거주하는 가구에서 응답률이 높았다.
출산 결정 시 방해 요인으로는 △양육비용 부담(26.4%) △일⋅가정 양립 어려움(22.8%) △교육비용(20.0%) △출산 후 일자리 유지 어려움(17.6%) 순으로 높았다.
저출산 문제 해결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정책으로는 △유연한 근무시간 및 장소(28.0%) △양육 친화적 직장문화(23.2%) △임신·출산·양육 등 비용 지원(19.9%) △보육시설 확충(18.8%) 순이었다.
내 집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은 결혼할 당시(51.2%)보다 자녀 출산 이후(71.1%) 크게 높아졌다.
자가 거주 가구 생애최초주택 마련 시점은 결혼 전이 34.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첫째 자녀 출산 이후 29.3% △둘째 자녀 출산 이후 28.7% 순이었다.
국토연은 “지역에 따라 중요하고 효과가 높을 것으로 보는 정책 차이가 선명하다”라며 “전국적 정책의 기본 틀에서 지역별 차이를 고려한 차별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