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을 접목한 국가건설기준(설계기준·표준시방서)관리 프로그램이 이르면 연내 나온다. 현장은 반신반의한다. 설계를 올바르게 하는데 도움은 줄지언정, 부실예방 수단으로 작용하진 못한다는 판단에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교통부는 6월부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국가건설기준센터, 가톨릭대 산학협력단 연구용역과 함께 건설 분야 AI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기존 한국어 언어 모델에 건설 용어와 지식, 중복·상충 추론 기능을 학습시키는 게 골자다.
국토부에 따르면 AI가 1140여개 국가건설기준코드를 분석해 1.2초 만에 결과를 알려준다. 실무자 이해도를 높이고 명확한 정보 공유가 가능해진다. 정부는 오는 12월 개발을 마치고 내년부터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국가건설기준센터 관계자는 “설계도서와 표준시방서가 상충되면 정보오류가 생기는데 프로그램은 이런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를 용이하게 해주고 실무에선 민원이 감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건설노조는 그러나 프로그램 활용도 보다 실효성 부족을 지적한다. 설계 오류를 없앤 번듯한 도면도 현장에선 무시되기 쉽기 때문이다. 시공사들이 비용 부담을 줄이려고 무리해서 공기를 맞추고 결국 날림공사가 발생한다는 것.
건설노조 관계자는 “현장에서는 설계구조가 아니라 좋은 자재를 안 쓰고 적정 시간에 작업이 이뤄지지 않는 게 실질적인 문제”라며 “감리도 공사가 지연되면 배상책임이 있기 때문에 공사가 어느 정도 진행됐다 싶으면 다 넘어간다. 이 부분은 내부에서 다 조율 된다”고 밝혔다.
이어 “프로그램을 이용해 설계상 문제가 없다는 걸 증명하고 정리하는 점에선 없는 것 보다야 낫겠지만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들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진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관해 국토부 “국가건설기준이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AI를 활용하는 게 핵심”이라며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공사현장에서도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실효성 지적에 관해서는 “콘텐츠에 관한 건 이 연구로 모두 커버할 수 없다”라며 “부실이슈와 연결 짓는 건 무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