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고도비만 청소년들이 급속히 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상담과 치료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청소년 시기 고도비만이 대사증후군 위험을 크게 높이는 만큼 학교와 병원 간 유기적 치료 프로그램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한비만학회는 18일 국회의원회관 제9간담회의실에서 ‘청소년 고도비만 조기치료 및 관리를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청소년의 비만 유병률과 치료 현황, 비만 관리의 문제점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를 가졌다.
교육부가 발표한 ‘2021년도 학생 건강검사 표본통계’에 따르면 체질량지수(BMI)를 기준으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생 3명 중 1명은 비만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청소년 건강행태 조사(2023) 결과 중·고생 고도비만 유병률이 남학생의 경우 2011년 6.8%에서 2021년 17.5배로 2.6배 증가했다. 여학생은 같은 기간 4.2%에서 9.1%로 역시 2.2배 늘었다.
발제를 맡은 홍용희 대한비만학회 소아청소년이사(순천향대 부천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고도비만 청소년은 정상체중 청소년에 비해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도가 100배 높다”며 “이는 사망률과 관상동맥질환, 심뇌혈관질환 발생률 증가와도 연계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고도비만 청소년에 대한 실효성 있는 정책 지원이 시스템적으로 단절돼 현재는 건강검진에서 이상징후가 발견돼도 진단과 치료는 학생 개인과 가족의 몫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홍 이사는 “청소년 비만 치료는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청소년 스스로 교정할 수 없는 원인이 많아 치료가 까다롭다”면서 “건강검진, 보건소, 의료기관이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협업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어진 토론에서도 전문가들은 학생 건강검진과 치료 프로그램의 연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재현 대한소아내분비학회 보건이사(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국가건강검진과 학생건강검진 데이터를 통합해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고 했다.
김 이사는 “학교 안 학생들은 교육부가, 학교 밖 아이들은 복지부가 건강검진을 주관하고 있고, 학생건강검진과 성인이 된 이후 받는 국가건강검진 간 데이터가 연계되지 않다보니 치료에도 사각지대가 생기게 된다”고 짚었다. 김 이사는 “사후 관리 부재를 해결하기 위해선 비만 진료, 상담,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급여화, 복지부와 교육부 간 공유 플랫폼 개발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강류교 보건교사회 회장은 “청소년 고도비만을 막기 위해 초등학교 저학년, 유치원 과정에서부터 비만에 대한 적극적인 검사와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면서 “특히 교육부에서 보건과목에 대한 고시를 추가해 의무적으로 초등 교육이 이행될 수 있도록 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정부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을 통해 청소년기와 성인기 건강 검진 자료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범사업을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 정연희 보건복지부 건강증진과장은 “의료기관, 보건소, 학교 등 관계 기관을 모두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려하고 있다”며 “학생건강검진을 기존 교육부와 복지부에서 건보공단으로 일원화해 내년부터 일부 지역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 “시범사업을 시행하면서 우리나라 아이들에게 세밀하게 작동 가능한 건강검진 모델을 만들 수 있도록 토대를 쌓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선혜 기자 betough@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