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PA, 항만 크레인 와이어로프 상시 진단 기술 개발 착수

BPA, 항만 크레인 와이어로프 상시 진단 기술 개발 착수

와이어로프에 발생한 자기장 변화 데이터로 실시간 결함 탐지 가능
-기존 인력 투입 점검 시 운영 중단, 육안 사각지대 점검 등 애로사항 극복 -

 

기사승인 2024-01-18 16:47:24
부산항만공사(BPA)는 「항만 크레인 와이어로프 상시 진단 시스템」 기술개발 사업에 착수했다고 18일 밝혔다.

와이어로프는 컨테이너의 적재 작업이 24시간 상시 이루어지는 항만에서는 면밀한 관리가 필요한 항만 크레인의 핵심 부품이다.

항만크레인 와이어로프 대시 보드 시각화.부산항만공사


일반 컨테이너 부두 크레인의 경우 와이어로프의 평균 사용기간이 약 3,000시간이다.

최근 준공한 신항 서 컨테이너 부두(2-5단계)에 무인 자동화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가동시간 증가 등 과부하로 인해 사용 가능기간이 1,800시간 이하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BPA는 부산항 터미널 운영사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HJNC)가 요청한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현장 조사 및 개발기술에 대한 기획에 착수했다.

신항 3부두 야드크레인 전경.부산항만공사


약 5개월 간 기존 기술 개발현황을 파악하여 IT운영 관리 솔루션 전문기업인 ㈜엔키아를 발굴하고, 함께 항만 크레인 와이어로프 상시 진단시스템 세부 개발 계획을 수립하였다.

BPA는 안정적인 기술 개발 추진을 위해 ㈜엔키아와 함께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기업 구매조건부 신제품개발사업’에 참여하여 공동 연구개발 기금 약 12억원을 조성, 본격적인 공동개발에 착수한다.

야드크레인 작동 모습.부산항만공사


2년의 사업기간 동안 중소벤처기업부에서 5.4억, BPA 5.4억, 기업투자금 1.3억으로 총 12.1억원의 개발비가 투자될 예정이다.

2024년 하반기 중, 초기 기술개발이 완료되면 HJNC를 비롯한 부산항 현장에서 테스트베드도 지원할 예정이다.

BPA 강준석 사장은 “기존 항만은 물론 올해 개장할 무인자동화 항만에 최적화된 스마트 안전기술 개발을 통해 부산항을 사고 없는 항만으로 만들고,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투자와 협력을 확대하는 등 적극적인 민관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부산=최광수 기자 anggi4@kukinews.com
최광수 기자
anggi4@kukinews.com
최광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