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사업자가 체감하는 경기는 이달 들어 더 나쁠 걸로 예상됐다. 14일 주택업연구원에 따르면 2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1월 보다 2.7p 낮은 64.0이다.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는 100을 기준으로, 100보다 높으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음을, 100보다 낮으면 경기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음을 의미한다.
지역별로 보면 수도권(60.6→61.7)은 1기 신도시 재정비 등의 영향을 받아 소폭 상승했다.
서울과 경기는 각각 2.2p(65.9→68.1), 4.6p(57.5→62.1) 상승했다. 인천은 3.8p 하락(58.6→54.8)했다. 인천은 2개월 연속 하락했다.
주산연은 “서울과 경기 지수 상승은 그간 하락세가 없던 지역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살아나고 분양경쟁률도 높아지면서 긍정적인 기대를 불러일으킨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인천은 현재 전세사기 피해주택들이 경매 진행 중임에도 불구하고 물량이 많아 문제 해결에 상당 시간이 소요될 걸로 예상되면서 적체된 물량이 해소되기 전까지 지역 내 주택사업 경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비수도권에선 지수가 대체로 하락했다. 대구 하락폭이 18.4p(80.9→62.5)로 전국에서 가장 컸다.
하락폭은 다음으로 △경북 13.9p(76.4→62.5) △전남 10.8p(73.3→62.5) △전북 9.1p(73.3→64.2) △광주 7.6p(63.1→55.5) △대전 5.5p(57.8→52.3) △강원 5.3p(63.6→58.3) △충북 3.3p(57.1→53.8) △경남 1.7p(75.0→73.3) △부산 1.4p(66.6→65.2) 순이었다.
제주에서는 전국에서 가장 큰 상승폭(55.5→75.0, 19.5p)을 보였다. 이밖에 충남 6.3p(56.2→62.5), 세종 2.7p(78.5→81.2) 등이 올랐다.
주산연은 “1.10 부동산 대책에 대한 기대감은 있지만 고금리 등에 따른 시장 위축으로 사업자들이 체감하는 시장 경기에는 큰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앞으로 실질적인 경기활성화로 연결시키려면 금리 인하와 더불어 보다 실효성 있는 시행방안 등 후속 조치가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2월 전국 자재수급지수는 1월보다 6.4p 하락한 81.6, 자금조달지수는 7.7p 하락한 58.4로 기록됐다.
각각 원자재 가격 부담 증가와 태영건설 워크아웃 등 PF(프로젝트파이낸싱) 사업장 불안요인이 작용한 결과로 분석됐다.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