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14일 (월)
승리 굳히는 트럼프…환율 1400원대 넘어서나 [2024 미국 대선]

승리 굳히는 트럼프…환율 1400원대 넘어서나 [2024 미국 대선]

기사승인 2024-11-06 16:37:39
미국 달러화. 연합뉴스
정진용 기자
jjy4791@kukinews.com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재선이 유력해지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시, 시장에서는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넘어설 수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5일(현지시간) 미국 AP통신은 미국 대통령 선거 개표가 진행되는 가운데 공화당 후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선거인단 230명을 확보했다고 보도했다. 210명을 확보한 민주당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앞서나가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경합주로 꼽히는 펜실베니아에서도 승리를 굳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일단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 재정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모든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인상하고, 지난 2017년부터 시행돼 내년 이후 만료되는 감세안을 연장하겠다고 주장하고 있다. 근로자가 받는 팁과 초과 근무 수당, 퇴직자의 사회보장 연금 등에 부과되는 세금을 폐지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한국은행 뉴욕사무소가 연방예산위원회(CRFB·Committee for a Respnsible Federal Budget) 분석을 바탕으로 예측한 바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정 지출 공약은 앞으로 10년 동안 미 장기 국채금리를 43bp(bp=0.01%포인트) 높이는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해리스 부통령의 경우에는 20bp였다. 

확장재정 등 경기 부양책과 감세 정책 추진시 이는 곧 국채 발행량 증가로 국채 수익률을 높이는 결과로 이어진다. 미국 국채 수익률이 오르면 통상 달러 가치가 상승한다. 특히 트럼프 전 대통령이 미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수입관세를 강화하는 것도 강달러의 요인이다. 그는 재선에 성공하면 중국산 제품에 60%의 관세와 모든 수입품에 10~20%의 보편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공언해왔다. 실제로 과거 트럼프 전 대통령이 깜짝 당선됐던 2016년에도 환율은 트럼프가 승리한 11월8일 1135원에서 연말 1208.5원으로 약 두 달 만에 6.48%가 치솟았다.

이에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넘어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오후 4시 기준,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14.9원(1.08%) 오른 1394.7원에 거래 중이다. 1400선 코앞까지 올랐다. 진옥희 하나금융연구소 연구원은 올해 4분기 원달러 환율을 해리스 부통령이 당선될 경우 1310~1400원,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경우 1350~1450원대로 전망했다. 

환율뿐 아니라 금리에도 여파가 미칠 것으로 보인다. 외신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시 지속적인 금리 인하가 어렵다는 관측을 잇따라 내놓았다. 데이비드 켈리 JP모건 자산운용 수석 글로벌 전략가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 영향으로 연방준비제도(Fed)가 12월에 금리 인하를 일시 중단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에 제동이 걸리면 국내 통화정책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환율이 불안한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낮추면 상대적으로 원화 가치가 더 떨어지면서 환율이 뛸 수 있기 때문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도 최근 환율이 금리 결정의 새 변수가 됐다며 금리 인하 속도가 예상보다 늦어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정진용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붕괴 나흘째 ‘광명 신안산선’…주민 대피명령에 학교는 휴업

신안산선 붕괴 사고 나흘째인 14일 현장 실종자 수색을 위해 소방당국이 밤샘 작업을 벌였다.이날 경기도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소방당국은 전날 오후 2시 10분 수색 재개를 위해 상부 안전펜스 및 낙하물 제거 등 조치에 돌입했다. 이어 오후 10시쯤 굴삭기 3대를 배치, 구조작업 위치 경사면을 확보했다. 40여분 뒤에는 토사 유출 방지를 위한 덮개 작업을 마무리했다. 밤샘 작업에 이은 수색은 이날 오전까지 계속되고 있다. 지난 11일 오후 3시 13분 포스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