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30세 이상 인구 600만명이 당뇨병을 앓고 있는 가운데, 당뇨병 전 단계를 포함해 전체 성인의 63%는 당뇨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질병관리청은 세계 당뇨병의 날을 맞아 ‘당뇨병 질병 부담 및 관리 현황’을 공개했다.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 기능이 이뤄지지 않는 대사 질환의 일종으로,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주요 사망원인 7위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성인(30세 이상) 당뇨병 유병률은 2021년 16.3%로, 약 600만명이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당뇨병 전 단계(46.7%·약 1695만명)까지 포함하면 전체 성인의 63.0%에 달하는 약 2295만명이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당뇨병 진료비 지출도 2022년 단일상병 기준 고혈압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급격한 고령화 추세와 함께 젊은 연령층의 비만율이 증가하면서 당뇨병 진료 인원도 지난 10년간 67.0% 증가했다.
당뇨병 인지율(당뇨병 유병자 중 의사로부터 당뇨병 진단을 받은 분율)과 치료율(당뇨병 유병자 중 혈당강하제를 복용하거나 인슐린 주사를 사용하는 분율)은 2019년과 2021년 기준 각각 67.2%, 63.0%로 2011년 이후 약 8%p 개선됐다. 하지만 당뇨병 조절률은 25% 수준으로 정체되고 있다. 당뇨병 조절률은 당뇨 유병자 중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인 분율을 말한다.
당뇨병 조절을 저해하는 요인은 흡연과 탄수화물 섭취 비율, 비만 등으로 확인됐다. 남자는 비흡연자 대비 흡연자(1.32배)가, 여자는 정상 체중 대비 비만(1.41배)인 경우 조절이 어려웠다.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1일 섭취량의 55% 미만인 남성은 55~65%인 경우에 비해 당뇨병 조절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당뇨병 유병 기간이 길수록 조절이 어렵고 합병증이 동반되는 만큼 정기 검진으로 혈당을 조기 관리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당뇨병 선별검사는 35세 이상 성인 또는 위험인자가 있는 19세 이상 성인에게 매년 권고되며, 일반인의 경우 국가건강검진을 통해 2년마다 1회 혈당을 확인할 수 있다.
지영미 질병청장은 “당뇨병 조절을 위해서는 약물요법 외 금연, 체중 관리 등 건강생활 실천과 정기적인 검사를 통한 조기 발견이 필수”라며 “질병청은 당뇨병 유병·관리 수준 파악 및 개선에 필요한 국민 건강조사, 당뇨병 조기 인지 대국민 캠페인, 당뇨병 지속 치료·자가관리를 위한 지역사회 등록관리사업, 과학적 근거 생산을 위한 연구 수행 등으로 당뇨병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