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이 장기화되면서 국내 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정국 당시에는 탄핵 가결 이후 시장 안정과 함께 회복세가 본격화됐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9일 코스피는 직전 거래일 대비 1.47% 하락한 2392.37로 거래를 개시했다. 코스닥도 1.81% 하락한 649.35로 장을 출발했다.
비상계엄 선포·해제가 잇따르며 하락하던 코스피는 지난 6일 탄핵 투표를 앞두고 2428.16으로 장을 마감했다. 여당의 표결 불참으로 탄핵이 불성립한 뒤 첫 거래를 시작한 코스피는 향후 시장 불안정을 예상한 매도성 자금이 쏟아지는 분위기다.
이같은 증시 하락은 외국인 투자자들의 영향이 크다. 외인 투자자는 비상계엄 사태 직후인 지난 4일부터 6일까지 사흘간 유가증권시장에서 총 1조86억원을 순매도했다. 일자별로 보면 △지난 4일 4071억원 △5일 3174억원 △6일 2841억원어치 주식을 내다 팔았다.
2016년 12월 박근혜 대통령 탄핵 당시 증시 반응도 지금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당시 코스피 지수는 탄핵안이 발의되는 2016년 10~11월 두달 간 4.1% 하락했다. 여기에 더해 경제지표들도 하락세를 그렸다. 한국은행 소비자지출전망지수는 10월 107에서 106으로 떨어지고, 12월 103으로 급락했다.
당시 전문가들은 내수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최순실 게이트’가 터진 이후 소비자와 기업 모두 경제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해석했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의 12월9일 탄핵안이 가결되면서 주가는 연말까지 25.5%의 급등세를 보였다. 또한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헌법재판소의 박 전 대통령 파면 결정과 관련해 한국이 정치적 불확실성을 야기한 중요 요소 제거로 구조적 문제 해결에 나설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다만 현 시점에서 탄핵정국이 장기화 국면에 접어들면서 경제 불안정성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탄핵 정국이 장기화할수록 정치 불확실성뿐만 아니라 정책 공백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단기적인 주가, 외국인 수급 변동성을 유발할 소지가 있다”면서도 “금융당국이 추가적 시장 안정화 조치를 시행한다는 점과 증시 밸류에이션이 역사적 저점 부근까지 하락한 점을 고려하면 변동성 장세에서 발생할 수 있는 투매에 동참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