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사업 12년 만에 첫발

수원시,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사업 12년 만에 첫발

기사승인 2024-12-13 13:48:33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조성 사업' 조감도

여러 논란 속에 장기간 표류하던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조성 사업’이 추진계획을 수립한 지 12년 만에 첫발을 내디뎠다.

국토교통부는 13일 ‘개발제한구역 일부 해제에 관한 수원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안)’을 조건부 의결했다. 

이에 따라 수원시는 입북동 일원 35만2600㎡ 부지에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를 조성할 계획이다. 개발제한구역 해제 면적은 34 2521.1㎡(97.1%)다.

시는 내년 1분기에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고시될 예정이라며, 이어 연말까지 ‘도시개발 구역지정, 개발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국토부는 지난 5일 세종시 국토부 대회의실에서 중앙도시계획위원회 전체위원회를 열고, ‘개발제한구역 일부 해제에 관한 수원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안)’을 심의했다.

이재준 수원시장은 이날 심의 안건 발표자로 나서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조성사업’의 필요성을 역설했고, 심의위원들의 질문에 적극적으로 답변했다.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사업은 지난 2011년 성균관대가 경기도에 사업을 건의하면서 시작됐지만 진행 과정은 험난했다.

수원시가 2013년 사업추진계획을 수립하고, 2014년 사업계획을 발표한 후 2016년 국토부에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위한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을 신청하면서 순행했던 이 사업은 이후 토지거래 의혹에 대한 검찰수사(무혐의), 감사원 감사(불문) 등으로 사업이 중단되며 좌초 위기를 겪기도 했다.

2021년 8월 수원시는 국토부에 사업신청서를 다시 제출했지만, 국토부는 “행정절차 기한이 오래 지났으니 다시 이행하라”고 회신했고, 2023년 7월 민선 8기 출범 후 전략환경영향평가·사업 타당성 재조사 등 행정절차를 재이행해 2023년 9월 관계 정부 부처와 협의를 완료했다.

국토부는 ‘토지소유자의 건의사항이 선결됐을 때 행정절차를 이행할 수 있다’는 조건부 의견을 냈고, 수원시는 다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국토부·성균관대·경기도와 지속해서 협의했다.

수원시는 부지의 87%를 소유한 성균관대와 꾸준히 협의한 끝에 2023년 12월 29일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 조성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성균관대는 우수한 연구력과 산학협력 역량을 바탕으로 연구개발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우수 인재풀을 연계해 사이언스 파크를 활성화하기로 했다. 

이재준 시장은 “수원시 첨단 과학기술 혁신 클러스터 조성사업의 하나인 ‘수원 R&D 사이언스 파크’는 서수원의 혁신을 이끌고, 수원시를 넘어 경기 남부의 새로운 성장 거점을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태영 기자
ktynews@kukinews.com
김태영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