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내린 ‘한동훈 지도부’ 與 체제 정비…‘대권주자’ 고민 시작

막 내린 ‘한동훈 지도부’ 與 체제 정비…‘대권주자’ 고민 시작

최고위원 전원 사의에 ‘비대위’ 가능성↑
비대위 당헌·당규, ‘이준석 지도부’ 내홍으로 변경
당 관계자 “탄핵 국면 대권주자 대의명분 꺼낼 것”
“비대위원장 성향에 따라 유불리 변화”

기사승인 2024-12-14 21:14:47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사진=유희태 기자

국민의힘 최고위원들이 전원 사퇴 의사를 밝히면서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 체제로 전환될 방침이다. 한동훈 지도부 체제는 사실상 막을 내리게 됐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결론이 확실치 않은 만큼 국민의힘 내부에서 대권주자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다.

尹 비상계엄령에 막 내린 ‘한동훈 지도부’

김민전·김재원·인요한·장동혁 국민의힘 최고위원과 진종오 청년최고위원은 1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탄핵안) 통과 직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정치적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했다.

김대식 국민의힘 원내수석대변인은 “오늘 지도부 총사퇴 결의가 있었다. 그 전에 김민전·인요한·장동혁 최고위원과 진종오 청년최고위원이 현장에서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고 밝혔다.

국민의힘 당헌·당규 제96조 ‘비상대책위원회’ 항목을 살펴보면 △당대표 사퇴 등 궐위 △선출직 최고위원 및 청년최고위원 중 4인 사퇴 등 궐위 △최고위원회의 전원찬성 등이 발생할 경우 비대위 체제로 전환하게 돼 있다.

다만 ‘당대표 사퇴 등 궐위’ 상황에서 비대위를 설치하려면 당대표 권한대행이 전국위원회의 추인을 받아야 한다.

앞서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당대표직 수행을 예고했으나 최고위원들이 전부 사퇴하면서 사실상 어려워지게 됐다. 한 대표는 앞서 탄핵 가결 직후 “결과를 무겁게 받아들인다. 집권여당 대표로서 국민과 함께 잘못을 바로 잡겠다”며 갖은 사퇴 요구에도 당대표직을 수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국민의힘 당헌·당규는 지난 2022년 이준석 지도부 내홍 때문에 개정된 것이다. 당시 당 지도부인 이준석 대표와 친윤계 사이에서 균열이 발생하면서 당대표 사퇴 공방전이 벌어졌는데 그 사건 이후 개정된 것이다.

당시 국민의힘 당대표를 맡은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은 당내 요구에도 사퇴를 거부했다. 당시 배현진·윤영석·조수진 전 최고위원이 사퇴했음에도 당헌·당규 해석이 확실치 않아 혼선이 이어졌고, 결국 친이준석계로 분류된 정미경 전 최고위원과 한기호 전 사무총장이 사퇴한 뒤 사건이 일단락됐다. 이후 전국위원회를 통해 당헌·당규가 지금처럼 개정됐다.

국민의힘 중앙당사. 사진=유희태 기자

與 탄핵 수습과 대선 고민…‘비대위’에 걸린 향방

한 대표 지도부가 사실상 무너지면서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주도하는 정국이 이어질 전망이다. 비대위가 설립돼 완전히 정착할 때까지 권 원내대표가 당을 이끌어야 한다.

김대식 원내수석대변인은 취재진의 질문에 “지도부 체제는 다음 주 월요일에 다시 논의할 예정”이라며 “지도부 총사퇴를 결의했기 때문에 (한 대표) 본인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은 탄핵 정국을 벗어나기 위해 비대위 체제를 전환하고, 민심 회복을 위한 민생 챙기기에 나설 예정이다. 권 원내대표는 전날 우원식 국회의장을 만나 ‘여야정 협의체’에서 경제와 민생을 논의하겠다고 전했다. 그러나 국민의힘은 차기 대선도 고민해야 할 상황이다.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결과를 어떻게 낼지 모르기 때문이다. 특히 법조계에서 이번 탄핵심판 심리가 빠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만큼 차기 대선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국민의힘 관계자들은 탄핵 정국 속 ‘대권주자’들이 눈치싸움이 시작됐다고 평가했다. 또 당대표 역할을 하는 비대위원장의 성향에 따라 유불리 수싸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해당 관계자는 “비대위 체제로 빠르게 전환해 중도를 당길 수 있는 비대위원장을 선정해야 한다. 조기 대선을 상정하고 움직여야 한다”며 “당내 당권주자들은 ‘당이 어려울 때 내가 나서겠다’는 대의명분을 꺼낼 가능성이 높다. 탄핵 국면에서는 남아있어도 살아남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다른 관계자는 “권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과 비대위원을 위촉하는 만큼 중요성이 높아졌다. 비대위원장이 대선 후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며 “헌법재판관 두 명의 임기가 내년 4월에 마무리 되는 만큼 그 전에 탄핵심판 결론이 난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당권주자들이 존재감을 잃지 않아야 하는 만큼 모두가 달려들 것이다. 상황이 상당히 복잡해졌다”며 “대권주자인 한 대표도 고민이 많아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상호 기자, 임현범 기자
sangho@kukinews.com
윤상호 기자
임현범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