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전자가 국내 대표 로봇 전문기업인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 지위를 확보했다. 휴머노이드 등 미래 로봇 개발 가속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는 31일 레인보우로보틱스에 대해 보유 중인 콜옵션을 행사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의 레인보우로보틱스 지분은 35%로 늘어나 최대 주주가 됐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연결 재무제표상 자회사로 편입될 예정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지난 2011년 카이스트 연구진이 설립한 로봇 전문기업이다. 해당 연구진들은 국내 최초 2족보행 로봇 ‘휴보’를 개발한 바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868억원을 투자,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지분을 14.7% 보유, 2대 주주로 자리매김해 왔다.
삼성전자는 미래로봇 개발을 더욱 가속화하기 위한 새로운 조직도 신설했다. 대표이사 직속의 미래로봇추진단이다. 미래로봇추진단은 휴머노이드를 포함한 미래로봇 기술 개발에 집중하는 조직이다. 향후 패러다임을 바꿀 미래로봇의 원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해 핵심 성장 동력화한다는 계획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창업 멤버인 오준호 카이스트 명예교수가 레인보우로보틱스 퇴임 후 삼성전자 고문 겸 미래로봇추진단장을 맡는다. 오 교수는 오랜 기간 산학에서 축적한 로봇 기술과 사업 노하우를 바탕으로 삼성전자의 미래로봇 개발에 힘을 보탤 예정이다.
삼성전자와 레인보우로보틱스 간 시너지협의체도 운영된다. 시너지협의체는 미래로봇 기술 개발은 물론 로봇 사업 전략 수립과 수요 발굴 등을 통해 두 회사의 성장을 돕는 가교 역할을 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레인보우로보틱스의 협동로봇, 양팔로봇, 자율이동로봇 등을 제조, 물류 등 업무 자동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삼성전자의 글로벌 영업 인프라를 활용해 해외 시장에도 적극 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최대 주주가 됨에 따라 미래로봇 개발에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며 “결국 두 회사의 Win - Win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