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디스플레이가 올해 AI TV 시대에 최적화된 4세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올레드) TV 패널을 선보인다. 이를 통해 대형 OLED 기술 혁신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이다.
LG디스플레이가 16일 서울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에서 4세대 OLED TV 패널을 공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4세대 OLED TV 패널은 업계 최고 수준인 최대 휘도(화면 밝기) 4000니트(nit)를 달성했다. 기존 대비 33% 증가한 수치다. 1니트는 촛불 한 개의 밝기다. 휘도가 높을수록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은 생생한 표현이 가능해 화질의 핵심요소로 꼽는다.
LG디스플레이의 4세대 OLED TV 패널은 RGB(적‧녹‧청) 소자를 독립적으로 쌓아 빛을 내는 ‘프라이머리 RGB 탠덤(Primary RGB Tandem)’ 구조를 갖췄다. 기존에는 에너지 파장이 상대적으로 짧은 청색 소자를 두 개 층으로 쌓고 한 개 층에 적색, 녹색, 황색 소자를 모두 배치해 3개 층(3-Stack) 구조의 광원을 사용했다. LG디스플레이의 독자 기술인 프라이머리 RGB 탠덤은 두 개의 청색 소자층과 각각 독립된 적색, 녹색 소자층을 더해 4개층(4-Stack) 구성한다.
색 표현력을 강화하는 컬러 휘도는 2100니트로 전 세대(1500니트)대비 40% 향상됐다. 빛의 세가지 기본색인 적색, 녹색, 청색 소자를 모두 개별층으로 분리해 색 순도가 높아졌다. 또 전력 소모가 높은 AI TV의 특성에 맞춰 에너지 효율도 극대화시키기 위해 소자 구조와 전력 공급 체계를 개선했고 패널의 온도를 낮추는데 성공했다. 이에 기존 대비 에너지 효율이 약 20%(65인치 기준) 개선됐다.

LG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패널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과 패널 내부로 흡수됐다가 반사되는 빛을 모두 상쇄한 특수 필름을 자체 개발했다.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는 외부 빛의 영향을 받아 밝은 공간에서는 화면이 겹치거나 검정이 회색으로 보일 수 있다. 4세대 OLED TV 패널은 특수 필름을 통해 내‧외부의 빛 반사를 99% 차단하며 낮에도 불이 꺼진 영화관처럼 빛 반사 없는 검정을 구현한다. LG디스플레이 측은 “시청 환경이 화질에 영향을 미치는 기존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극복한 유일한 디스플레이다”고 설명했다.
이번 패널은 유해 블루라이트를 줄이는 인체 친화적인 기술을 갖췄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LCD)의 유해 블루라이트 비중은 70~80% 수준이지만 4세대 OLED TV 패널는 45%로 확인됐다. 유해 블루라이트는 사용자의 시력과 생체 리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양산하는 TV의 최상위 라인업에 4세대 OLED TV 패널을 탑재하며 게이밍 OLED 패널도 프라이머리 RGB 탠덤기술을 순차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기존 제품인 ‘세계에서 가장 빠른 모니터’ 패널, 벤더블 제품 등과 함께 하이엔드 게이밍 시장을 정조준하고 있다.
이현우 LG디스플레이 사업부장(전무)은 “4세대 OLED 패널은 LG디스플레이의 독보적인 기술을 적용해 기존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뛰어넘은 혁신의 정수”라며 “우수한 화질은 물론 사용자 친화적인 기술로 전에 없던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OLED 기술 리더십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