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선 전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국회 교섭단체 연설에 대해 “AI 추경을 언급해 혹시나 하는 기대를 가졌는데 실망스럽다”고 평가했다.
박 전 장관은 1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AI 추경 등 좀 더 신박한 내용 담았어야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박 전 장관은 “전체적으로 이야기를 풀어가는 서술방식이 고답적이고, 세상의 변화를 담아낸다기보다 과거를 답습하고 있다”며 “AI 전략의 3대 요소인 ‘컴퓨팅 파워’ ‘알고리즘 개발’ ‘데이터 활용’ 등 이 세 분야에 대한 전략점검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AI 국가데이터 센터는 이미 정부가 시작했다. 그 시기를 앞당겨야 한다”며 “광주에 문재인 정부 때 만든 국가데이터 센터가 이미 있지만 활용도가 낮다. 급한 대로 이것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도 구체적으로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박 전 장관은 이 대표 연설 중 ‘AI 인력양성 10만명 부트캠프(전문인력 집중양성기관)’ 언급에 대해서도 “과거에도 늘 언급되던 내용”이라며 지적했다. 그는 “신기술이 등장하면 10만명 양성 공약은 공식처럼 따라나오던 것이다. 새로운 내용이 아니”라며 “인력양성을 소프트웨어 개발 차원에서 어떻게 활성화 할지가 담겨야 한다”고 꼬집었다.
또 “대한민국의 데이터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도 담아야 한다”며 “한국은 정부 자료도 컴퓨터가 자동으로 읽지 못하도록 돼있어 컴퓨터가 자동으로 자료 처리를 못 한다. 표준포맷을 쓰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것부터 고쳐야 용이하다”고 했다.
아울러 박 전 장관은 “지금 우리는 어디에 있는지, 미래를 위해서는 무엇을 더 준비하고 보충해야 하는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며 “정부가 준비할 일과 민간이 함께할 일에 대한 구체적 청사진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