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빌리티 플랫폼 ‘타다’ 운영사 브이씨엔씨(이하 타다)가 택시 기사의 호출 차단에 대한 피해를 배상하라며 카카오모빌리티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17일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타다는 지난달 수원지법 성남지원에 카카오모빌리티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타다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자사 가맹 택시에 호출을 몰아주고 경쟁사 호출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소비자 선택권을 제한했고 모빌리티 시장의 혁신이 저해됐다고 주장했다.
타다 측은 카카오모빌리티로 인해 중형택시 ‘타다 라이트’ 매출이 감소했고 택시 기사와 고객 이탈 등 피해를 겪어 사실상 서비스를 종료한 상태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 측은 “아직 소장을 받지 못해 공식 입장은 없다”고 밝혔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카카오모빌리티가 경쟁 가맹 택시 사업자에 제휴 계약 체결을 요구하고 거절할 시 소속 택시 기사의 호출을 차단하는 ‘갑질’을 한 혐의에 대해 지난해 12월 과징금 151억원을 확정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승차거부를 줄여 사용자 편익 증대를 위한 조치라는 주장과 함께 공정위 제재에 불복, 행정소송 중이다.
앞서 지난해 타다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전화와 문자 메시지를 통해 기사들의 가맹 택시 전환을 유도했다고 주장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자발적으로 이직 상담을 신청한 타다 기사들을 대상으로만 정보를 제공했다며 공방을 벌였다.
타다 관계자는 “카카오모빌리티의 반복되는 불공정 행위로 인해 모빌리티 업계의 발전이 저해됐을 뿐 아니라 혁신 기업의 생존도 위협받고 있다”며 “소송을 통해 정당한 보상을 받는 동시에 업계 전반에 공정한 경쟁 문화를 확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는 “카카오모빌리티는 택시 기사가 좋은 콜을 골라잡아 생기는 승차거부를 줄일 목적으로 배차 알고리즘에 배차수락률을 반영한 것으로 사용자 편익 증대를 위한 조치”라며 “이외에도 기사의 일방적인 콜 취소, 브랜드 혼동 등 서비스 품질 저하를 막기 위해 타사 가맹택시와 플랫폼 제휴 계약을 추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