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범여권 1위 주자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본격적인 몸풀기에 나섰다. 김 장관이 참석한 토론회에는 국민의힘 의원 57명이 모였다. 다른 잠룡인 오세훈 서울시장 토론회 때보다 참석자가 8명 많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토론회가 사실상 대선출정식이라고 평가했다.
김 장관은 19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2030·장년 모두 Win-Win하는 노동개혁 대토론회(노동개혁 토론회)’ 중 취재진을 만나 윤석열 대통령을 비호했다. 그는 ‘헌법재판소(헌재) 탄핵심판’에 관해 “헌재가 헌법과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길 바란다”며 “헌재는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절차와 결론을 내놓길 기도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헌재 공정성’ 질문에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사례를 꺼내 들었다. 김 장관은 “헌재가 대통령 파면을 쉽게 생각하는 게 아닌가 싶다. 대통령은 전 국민이 투표해서 뽑았다”며 “대한민국 직선제는 민주주의 꽃으로 박 전 대통령을 만장일치로 탄핵한 결과가 옳았냐”고 주장했다.
김 장관은 ‘여권 1위 여론조사를 어떻게 생각하냐’는 물음에 “제가 정책을 발표하거나 다른 뜻을 밝히지 않았음에도 (1위로) 나오는 것은 사회가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라며 “쏠림현상은 대한민국을 매우 불행하게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조기 대선’ 출마에 말을 아끼던 김 장관은 ‘중도 확장성’ 지적에 이력을 설명했다. 그는 “청계천에서 바느질 보조로 출발했다. 공장만 7년 이상 다녔고, 민주화 과정에서 감옥만 두 번을 다녀왔다”며 “가장 어렵다는 부천 소사에서 국회의원 3번, 경기도지사 2번을 역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저는 사회 약자를 보살피는 게 공직자 첫 번째 직군이라는 점을 잊지 않고 살아왔다”며 “국회의원과 경기도지사로서 다 기록됐다. (의사록에) 행동과 방향이 다 나왔기 때문에 하나하나 설명할 필요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재명 ‘도덕성’ 견제…‘부정선거’ 재확인 강조
김 장관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도덕성을 간접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진실하고 청렴한 사람이 공직을 맡을 수 있다”며 “공직자는 어려운 국민을 찾아서 눈물을 닦아드리는게 첫 번째 사명이라는 말을 했다”고 강조했다.
또 “공직자가 깨끗하지 않으면 온 나라가 더러워져 살 수 없다”며 “자기 모든 것을 바치는 게 공직자 자세이자 사명“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 대표의 ‘민주당은 중도보수’ 발언에 관해 ‘이승만 진보론’을 꺼내 들었다. 이를 통해 민주당 진보 성향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그는 “이승만 전 대통령이 대한민국에서 가장 진보적인 인물이다. 어려운 세상에서 한강의 기적을 만든 분이 진보가 아니냐”며 “박정희 전 대통령보다 더 진보적인 인물”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에 부정선거 책임론을 꺼내 들었다. 그는 “선관위가 부정선거를 주장하는 사람에게 무엇이 원인인지 확인해야 한다”며 “관외 사전투표가 관내까지 오는 과정, 보관하는 기간 등에 대한 의문은 정당하다. 이를 안전하게 보완할 책임은 선관위에 있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김 장관의 토론회 행보는 사실상 대선 행보다. 당 현역 의원 57명이 토론회로 한 자리에 집결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며 “윤 대통령 탄핵국면으로 조기 대선을 언급할 수 없지만, 당내 주자들이 점차 존재감을 드러내는 중”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