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세훈 서울시장은 2036년 하계올림픽 개최와 관련 기존 시설을 재활용한 ‘흑자 재활용 올림픽’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전라북도와의 공동 개최에 대해선 “개최 경쟁 과정에서 감점 요인이 되고 준비기간이 6개월 이상 연장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오 시장은 19일 서울시의회 제328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유정인 시의원(국민의힘·송파5)의 관련 질의에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구체적인 올림픽 재원 마련 계획에 대해 “기존에 올림픽을 한 번 치렀기 때문에 거의 모든 시설을 재활용하는 흑자 재활용 올림픽이 될 것”이라며 “(서울시는) 경기장, 도로, 공항 등 인프라가 완비돼 있고 경제성 측면에서도 매우 우월하다”고 답했다.
오 시장은 “비용 절감으로 추가 설비를 아끼기 위해 경기·인천의 지원 시설을 활용할 것”이라며 “해양 스포츠의 경우 부산이나 강원도에도 시설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전북과의 공동 개최 제안에는 선을 그었다. 서울시와 전북은 2036년 하계올림픽 국내 유치도시 선정을 두고 경쟁하고 있다. 국내 개최지 선정은 오는 28일 대한체육회 대의원총회의 투표에 따라 결정된다.
오 시장은 “내부 행사가 아니라 국제행사인 점을 고려해야 한다”며 “흑자를 많이 내야 가점을 받는데 전북과의 공동 개최는 감점 요인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점수만 낮아지는 게 아니라 준비기한이 6개월 이상 연장될 수 있다”며 “공동 개최의 경우 새로 평가받아야 하므로 난점이 있다”고 강조했다.
오 시장은 "서울시가 개최권을 가져온다면 시설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전북과 분산 개최할 수 있다는 의사를 이미 전북과 올림픽 위원회에 전달했다"고 덧붙였다.
한편 오 시장은 이날 5000억 규모의 AI 펀드와 함께 ‘서울 AI 테크시티’ 조성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AI 테크시티는 연구, 주거, 문화 공간을 갖춘 직·주·락 복합공간을 목표로 양재 AI 허브 인근에 조성될 계획이다. 또한 기후동행카드의 위례선 트램 적용 여부에 대해선 “개통 전에 최대한 서둘러 기후동행카드와 연계해 사용할 수 있게 하겠다”며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