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청년주거정책 신청률 저조…실질적 개선 필요”

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시 청년주거정책 신청률 저조…실질적 개선 필요”

서울청년 65.7% 주거지원 알지만 실제 신청자 28.7% 불과
소득기준 ‘청년 개인 기준’으로 완화·주거지원 대상 확대 등 개선 필요

기사승인 2025-02-24 13:00:56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와 빌라 모습. 연합뉴스

서울시의 청년 주거지원사업이 청년들에게 높은 인지도를 기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신청률과 수혜율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특별시의회 심미경 의원(국민의힘·동대문2)은 지난해 12월 실시한 ‘서울시 청년주거 정책에 대한 청년 인지도 및 만족도 조사’ 결과를 24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세~39세 청년이다.

심 의원은 여론조사를 통해 서울 거주 청년들이 서울시와 정부가 추진하는 청년주거지원 사업에 대한 인지도와 만족도를 측정했다. 신청 자격 및 입주자 선정 방법 등의 적절성과 공정성에 대해 청년들이 느끼는 주관적 평가를 조사해 청년세대의 욕구에 맞는 정책대안을 탐구하고자 했다.

이번 조사에서 서울시 청년주거 지원사업을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1000명 중 65.7%였으나 실제 신청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28.7%에 불과했다​. 청년들이 사업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로는 자격 기준이 맞지 않아서(55.6%), 신청해도 선정될 가능성이 낮다고 생각해서(20.7%), 정책 정보를 몰라서(11.2%) 등의 응답으로 조사됐다.

청년들은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자격 조건 완화(23.8%)와 주거 지원 대상 확대(19.6%)를 주로 꼽았다. 특히 자격조건 완화에 대해서는 신청자격 심사의 소득기준을 ‘가구 기준’이 아닌 ‘청년 개인 기준’으로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41.5%에 달했다. 

심 의원은 “서울에 살고 있는 청년들이 높은 주거비 부담에도 불구하고, 주거지원 정책이 현실과 동떨어져 있어 혜택을 받기 어려운 구조가 계속되선 안 된다”며 “서울시 청년주거 정책에 실질적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번 조사를 바탕으로 “청년의 주거 안정은 서울의 미래 경쟁력과 직결된다.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청년 주거정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심미경 서울시의원. 서울시의회 제공
양다경 기자
ydk@kukinews.com
양다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