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화보험에 가입한 소비자가 피해를 입자 금융감독원이 소비자 경보를 발령했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중 1060건에 그쳤던 외화보험 판매 건수가 지난달 7785건으로 급증했다. 외화보험 초회보험료는 지난해 1월 453억원에서 지난달 1453억원으로 증가했다.
금감원은 같은날 소비자의 외화보험 상품 오인을 막기 위해 소비자경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한 민원인은 높은 이자율과 환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권유를 받고 자녀 학자금 저축 목적으로 보험에 가입했지만 뒤늦게 저축성 상품이 아니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외화보험은 보험료 납입과 보험금 지급이 모두 달러 등 외국 통화로 이뤄지는 보험이다. 최근 환율 상승에 따라 환차익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며 외화보험 판매가 급증했다.
하지만 외화보험은 납입한 보험료 전액이 투자되지 않는다. 위험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금액과 보험 모집에 들어간 비용을 뺀 금액만 적립된다. 예‧적금이나 금융투자상품이 아니라 보험 상품이기 때문이다. 납입과 수령을 외화로 한다는 것 외에는 일반 보험상품과 차이가 없다.
환차익을 보기도 어렵다. 가입자가 수령할 보험금뿐 아니라 납입할 보험료도 환율에 따라 변동되기 때문이다. 보험기간 중 환율이 상승하면 보험료 부담이 증가한다. 반대로 보험금이나 환급금을 받는 시점에 환율이 떨어지면 원화 가치 하락으로 받는 돈이 줄어들 수 있다.
환전수수료를 고려하면 외화보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환차익은 더 적다. 외화보험에 가입해 보험료를 납부하려면 원화를 외화로 환전해야 한다. 외화를 사는 환율은 평균 환율을 뜻하는 매매기준율보다 높다. 보험금을 수령할 때도 외화를 파는 환율이 매매기준율보다 낮아 환전시 손해가 발생할 수 있다.
외화보험 중 금리연동형 상품은 해외 금리변동의 영향도 받는다. 해외채권 금리를 감안해 적립이율을 결정하기 때문에, 해외 시장금리가 떨어지면 해약 환급금이나 만기 보험금이 예상보다 작아질 수 있다.
금감원은 계약해지 외에는 환율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방안이 없다고 경고했다. 계약을 해지하고 받는 환급금은 납입한 원금보다 적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상품 내용을 잘못 알고 가입했다면 보험증권을 받은 날로부터 15일 이내, 청약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특별한 사유가 없어도 청약을 철회할 수 있다.
가입 절차가 미비했다면 계약 성립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계약을 취소하고 납입보험료 및 경과이자를 환급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약관‧청약서 부본 미전달 △약관 중요내용 미설명 △청약서 자필서명 누락 등이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