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흠 충남지사가 지천댐 건설이 미래를 준비한다는 큰 틀 속에서 고민하고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지사는 6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천은 지형적인 여건과 풍부한 수량으로 물을 담수할 수 있는 최적지이고,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유일한 대안”이라며 “단순한 물 관리를 넘어 주거·산업·농축산·관광 등 충남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반드시 필요한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충남은 만성 물 부족 지역으로 용수의 80% 이상을 대청댐에 의존하고 있고, 2035년이면 하루 약 18만 톤의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도는 지천댐 건설을 통해 신규 수원 확보와 재해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고, 나아가 관광 기반시설 구축은 물론 기업유치와 국가지원 등을 이끌어내 청양과 부여의 발전동력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어 “정부는 기후대응댐 예정지 14곳에 대해 후보지와 후보지(안) 등으로 분류할 예정”이라며 “도에서는 찬성과 반대 양측 주민들이 함께 참여하는 협의체를 구성해 충분한 협의와 논의를 거쳐 후보지로 최종 확정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주민의 일방적 피해만 강요했던 시대는 지났다. 환경부와 도에서는 댐 건설 지역에 대한 지원도 대폭 확대하겠다”면서 댐 건설 지역에 대한 전폭 지원도 약속했다.
먼저 국가지원 770억 원 외에 도에서 1000억 원을 추가 지원해 주거·산업·농축산·관광분야에 집중 투자한다.
또 군과 함께 산업단지 조성 및 앵커기업 유치를 적극 지원하고, 수몰지역 주민이 30~40가구씩 모여 살 수 있도록 이주단지 조성 지원 및 주민 생계를 위해 태양광, 스마트팜, 대토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축사 현대화와 스마트축산단지 조성 등 깨끗하고 안정적인 축산 기반도 마련하고 전망대, 출렁다리 등 관광 명소화 계획도 마련한다.
마지막으로 김 지사는 ”지천댐이 청양군민에게 피해만 주고, 이익은 타 시군이 가진다는 주장은 맞지 않는다“면서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숙박·음식업·공장설립에 제한은 없다”고 분명히 했다.
댐 건설로 인한 마을 공동체 파괴 주장에 대해서도 “수목·인접지역 주민 대다수가 추진에 찬성하고 있다”며 “도에서는 주민이 원하는 곳에 이주단지를 조성할 것”이라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