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전자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완성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99%까지 단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AI 기술로 제품 개발 과정에서 수차례 반복되는 검증 시간을 줄여 개발기간 단축과 생산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27일 설명했다. 기존에는 시제품 제작 전 품질을 예측하기까지 약 3시간에서 8시간이 소요됐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AI를 활용해 별도의 시뮬레이션 없이 3분 이내에 예측할 수 있다.
특히 이번 기술은 유사한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AI 기술과 비교해 분석을 위한 학습 시간을 95% 이상 단축하고, 메모리 사용량은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인다. 정확도는 15% 이상 향상했고, 결과를 실제 제품에 가까운 3D 형태로 보여줘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AI 기술은 3D 도면 정보만 입력하면 오차를 줄이기 위해 도면 좌표를 기준에 맞춰 정밀하게 정렬하는 등 별도의 과정 없이 품질 예측 결과를 보여준다. 이어 입력된 데이터를 압축·경량화하는 기술도 적용해 AI가 학습한다. 개발자들이 업무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Eng.AI(Engineering AI)’에 선보일 계획이다.
LG전자는 AI 기술을 자체 제조역량 강화에 우선 활용할 계획으로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 가전과 TV, 차량용 제품 등에 탑재되는 부품 설계에 순차 적용한다. 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에도 적용해 지난해부터 시작한 솔루션 외판 및 컨설팅 사업의 경쟁력도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LG전자의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은 △생산시스템 설계‧모니터링‧운영 △빅데이터 및 생성형 AI 기반 설비‧공정관리, 산업안전, 품질검사 △산업용 로봇 등을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Eng.AI 플랫폼 등 제품개발 및 생산요소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AX솔루션도 준비 중이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박찬영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팀과 제품 설계 과정의 효율화를 위한 검증 기술을 공동 연구해 왔다. 최근에는 AI 분야 글로벌 최고 수준 학회인 ‘국제머신러닝학회’에 관련 논문을 제출해 학술적으로도 기술 검증을 받을 예정이다.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장 사장은 “생산기술원은 스마트팩토리 전 단계에서 고객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는 중”이라며 “AI 기반의 검증 기술로 제품 개발 주기의 단축은 물론, 개발 효율성 역시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