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4월 2일 (수)
“식품업체 가격인상 타당성 부족…소비자 중심 지원정책 필요"

“식품업체 가격인상 타당성 부족…소비자 중심 지원정책 필요"

기사승인 2025-03-28 16:57:31
지난해 주요 식품업체 전년 대비 매출액·매출원가 증감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김건주 기자
gun@kukinews.com

소비자단체가 최근 가격 인상을 발표한 식품업체들이 소비자 부담을 외면하고 있다며 정부에 소비자 혜택 중심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28일 성명을 통해 “식품업계의 3~4월 가격 인상 결정이 이어지고 있다”며 “업계가 환율과 국제 식량 가격 상승을 근거로 내세웠지만 실제로는 실적 개선과 이윤추구를 위해 소비자 부담을 외면한 것은 아닌지 의문스럽다”고 지적했다.

협의회는 가격 인상 품목들 중 코코아와 원두 등 일부 원재료는 가격이 올랐지만, 밀가루와 식용유, 옥수수 등은 지난해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또 정부가 식품업계의 원가 부담 완화를 위해 코코아생두·커피농축액·설탕 등 13개 주요 수입 품목에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수입 부가가치세(10%) 면제, 원료 구입 자금 등의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협의회는 실제로 가격을 인상한 주요 식품업체들의 연결재무제표를 살펴본 결과, 실적이 양호했다고 꼬집었다. 주요 식품기업의 지난해 실적을 보면 총 매출원가 증감률이 총매출액 증감률과 비슷하거나 낮아 원가 부담이 크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기업별 지난해 영업이익 증감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예로 남양유업의 지난해 매출은 2023년보다 4.4%, 매출원가는 6.3% 각각 줄었다. 동서식품 매출은 2.0% 증가했는데 매출원가는 1.4% 늘었다. 롯데웰푸드의 매출은 0.5%, 매출원가는 2.9% 각각 감소했다.

협의회는 식품기업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증가했다고 평가했다. 각각 남양유업(86.3%), 동서식품(6.2%), 동원F&B(10.0%), 대상(43.0%), 빙그레(17.0%), 오리온(10.4%), CJ제일제당(20.2%), SPC삼립(3.5%) 등이다.

소비자단체는 “K푸드의 해외 인기로 식품기업의 실적 호조가 예상돼 주가도 오르는 상황에서 연쇄 가격 인상은 타당성이 부족하고 소비자들이 납득하기 어렵다”고 일축했다. 이어 “정부가 물가안정을 위해 기업을 다각적으로 지원하고 세제 혜택을 제공하고 있음에도 가격 인상 행렬로 소비자가 체감하는 효과는 미미한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정부에 소비자 혜택 중심의 지원 정책 마련도 요구했다. 협의회는 “물가안정에 동참하지 않는 기업에 대한 세제와 관세 혜택을 철저히 재검토해 실질적인 소비자 혜택 중심의 지원 정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또 식품기업에는 “도미노 가격 인상이 얼어붙은 소비심리를 더 위축시킬 것”이라며 “업의 존립은 소비자가 있기에 가능한 것이며, 소비자의 신뢰 없이는 기업의 미래도 없다”고 전했다. 이어 “지나친 가격 인상을 중단하고 원재료 하락분을 반영해 제품가격을 합리적 수준으로 돌려 소비자 신뢰 회복과 가격 안정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밝혔다.
김건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탑승자 80여명과 함께 ‘윤석열 파면버스’ 출발

서울 곳곳을 순회하며 압도적 파면 결정을 촉구하는 '윤석열 파면버스'가 운행을 시작했다.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이 4일로 지정된 가운데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전환 서울비상행동, 민주노총 서울본부 등은 2일 헌법재판소 인근 안국역 6번 출구에서 윤석열 파면버스 출정식을 진행했다. 이날 열린송현 녹지광장에서 출발한 파면버스는 탑승자 80여 명을 태우고 한남동 관저를 비롯한 거점을 순회하며 일정을 이어나갈 예정이다.한남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