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합원과 집행부의 분쟁으로 공사 중단과 공사비 증액 갈등을 연이어 겪은 서울 은평구 대조1구역 재개발정비사업이 1년여 만에 문제를 해결했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가 파견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와 은평구의 적극적인 조정과 중재를 통해 사업 당사자들이 합의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정비사업이 지체되거나 갈등을 겪고 있는 현장에 건축·도시계획·도시행정·도시정비 등 관련 분야 전문가나 변호사 등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을 파견하는 제도다.
문제가 된 대조1구역 재개발 사업은 시공사인 현대건설이 △설계변경·특화설계 등 1776억 △공사중단·공기연장 등 손실 비용과 물가변동 등 1995억 등으로 총 3771억원의 공사비 증액을 요구하면서, 일반 분양과 준공 지연이 예상되는 상황이었다.
이에 시는 지난해 1월5일부터 코디네이터를 현장에 파견했다. 이들은 공사비 증액과 관련해 조합과 시공자의 제출 자료를 검토한 뒤 적절한 조정안과 중재안을 제시했다. 이 조정·중재안을 기준으로 조합과 시공자간의 추가적인 협의를 지속적으로 진행했다. 양측은 공사비 2566억원 증액으로 합의를 이뤘고, 지난달 29일 증액 관련 의결을 끝냈다.
지난 2012년부터 진행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는 지난해에도 총 15개 정비 지역에 파견돼 여러 갈등을 해결했다. 지난해 8월 미아3·안암 2구역, 12월 역촌 1구역에 이어 올해 1월 이촌동 현대아파트 리모델링 사업과 3월 말 대조 1구역까지 총 8개 구역에서 합의안을 이끌어냈다. 현재는 천호 1구역, 노량진 6구역 등 총 6곳에서 조정·중재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진석 서울시 주택실장은 “조합 내부 갈등, 공사비 갈등 같은 여러 갈등 상황으로 인해 사업이 장기간 지연될 수 있다”며 “앞으로도 서울시가 갈등관리에 적극 나서서 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하여 신속한 주택공급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