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제로에너지 수직농장 새 모형 개발 추진

충남도, 제로에너지 수직농장 새 모형 개발 추진

K-수직농장 세계화 프로젝트 공모 선정...국비 38억 확보

기사승인 2025-04-01 13:09:34 업데이트 2025-04-01 13:10:29
충남도청 전경. 쿠키뉴스DB

충남도는 농림축산식품부와 농촌진흥청이 주관하는 ‘케이(K)수직농장 세계화 프로젝트’ 연구개발(R&D) 공모사업에 최종
선정돼 국비 38억 원을 확보했다고 1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식량 안보 위협과 경지 면적 감소, 기후 위기 심화 등 세계적인 현안의 해결 수단으로서 추진한다. 

이번 공모에는 도와 예산군, 한국기계연구원, 공주대, 충남대, 충북대, 주식회사 귀뚜라미가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했으며, 컨소시엄은 올해부터 오는 2029년까지 5년간 국비 38억 원을 포함한 총사업비 43억 6000만 원을 투입해 ‘건물 공조기술 기반 제로에너지 수직농장 모델 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한국기계연구원이 제로에너지, 양액 재순환, 에너지 해석모델 개발 연구를 주도하고, 대학들은 수직농장의 경제성 분석과 수익화 모델 개발을 맡는다. 

귀뚜라미는 공조 분야의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수직농장 전용 공조기기 개발에 적극 협력할 예정이다. 

도와 예산군은 수직농장 정책 연구를 지원하고 내포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 내 2028년 준공 예정인 스마트혁신지원센터(산단관리사무소)에 수직농장 실증공간(100∼200㎡ 규모)을 제공할 계획이다. 

실증공간 준공 전까지는 한국기계연구원과 귀뚜라미가 보유한 자체 수직농장 시설에서 사전 연구를 진행한다. 

제로에너지 수직농장 시스템은 건물 공조시스템을 기반으로 태양광과 연료전지를 활용해 자체 에너지를 생산, 에너지 자립률 40% 이상을 달성하고 고효율 수직농장 전용 공조기기, 양액 방류를 최소화하는 폐쇄형 양액순환시스템 등을 접목해 에너지와 자원 소비를 절감한다. 

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기반의 최적 제어 기술을 적용한 수직농장 통합 관리 시스템을 구축해 작물의 생산성과 에너지 소비를 단계별로 실증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개발한 기술을 보급·확산하고 수직농장 정책 제안과 사업화 모델 개발을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도는 이번 사업으로 고비용, 높은 에너지 소비, 수자원 문제 등 기존 수직농장의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모델을 개발해 선진화된 수직농장 모델 보급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안호 도 산업경제실장은 “이번 공모 선정은 도가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비전과 기술력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산·관·학·연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국내는 물론 해외 시장에서도 성공적인 수직농장 모델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홍석원 기자
001hong@kukinews.com
홍석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