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10일 데드라인” 홈플러스 사태 피해자들, 소송 등 총력대응 예고

“MBK, 10일 데드라인” 홈플러스 사태 피해자들, 소송 등 총력대응 예고

기사승인 2025-04-03 15:37:28
홈플러스 유동화 전단채(ABSTB·자산유동화전자단기사채) 피해자가 12일 서울 영등포구 금융감독원 앞에서 열린 '홈플러스 유동화 전단채 피해자 상거래채권 분류 인정 요구' 기자회견에서 마스크를 쓴 채 고개를 숙이고 있다. 유희태 기자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관련해 전방위 압박을 받고 있다. 금융감독의 강도 높은 감사와 유동화증권 전자단기사채(ABSTB) 발행 주관사·판매사의 홈플러스 형사고소에 이어 투자자들도 소송 등 총력 대응을 예고하고 나섰다. 

홈플러스 물품구매 전단채피해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10일까지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과 김광일 부회장, 홈플러스가 성의 있는 대책을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으면 11일 피해자 집단으로 서울중앙지검에 고소고발장을 제출할 것”이라고 3일 밝혔다. 

비대위는 법적대응 외에도 MBK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겠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MBK가 거래하는 각국의 증권감독기관과 각 언론사에 ‘MBK 요주의령’ 영문 논평과 피해자 탄원서 논문을 적극 접수하겠다”며 “김 부회장 자택 앞 피켓시위도 곧 시행할 계획”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김 회장과 김 부회장, 홈플러스 경영진은 사재출연 등 모든 방법을 강구해 홈플러스 정상화와 유동화전단채 피해 원금 반환을 즉시 이행하라”고 강조했다. 

앞서 신영증권, 하나증권, 현대차증권, 유진투자증권 등 4개 증권사는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 가능성을 알고도 ABSTB 발행을 묵인하고, 기습적으로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고 보고 홈플러스와 경영진을 고소했다. 증권사들은 홈플러스가 의도적으로 채권 상환 책임을 투자자에게 떠넘겼다고 보고 있다. 

홈플러스와 MBK 등을 감사 중인 금융감독원도 최근 홈플러스 신용등급 강등 이전에 대주주인 MBK가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준비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밝혔다. 

검찰도 관련 수사에 착수했다. 법조계에 따르면 검찰은 홈플러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의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사기) 혐의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3부(이승학 부장검사)에 배당했다.

금융감독원 집계에 따르면 홈플러스 ABSTB 발행 규모는 4019억원이다. 이 중 개인 투자자 구매액은 1777억원이다.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임지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