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 전주시가 완주와 전주를 가로질러 서해로 흐르는 만경강에 일제 강점기 강제 수탈의 역사적 상흔이 담긴 폐철교를 역사문화공간으로 조성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전주시는 완주군과 상생협력사업 일환으로 완주와 전주를 잇는 만경강 중심에 위치한 옛 만경강 철교를 활용한 ‘완주·전주 상생 철길 조성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4일 밝혔다.
앞서 지난 2023년 12월 전주시와 완주군, 전북특별자치도가 체결한 ‘전주·완주 상생협력사업 협약(9차)’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은 총사업비 약 40억원을 투입해 추진된다.
이를 위해 완주군은 옛 만경강 철교 위에 약 475m의 보행로를 설치하고, 전주시는 전주 방면 화전동 969-1번지 일원에 기반시설(주차장, 도로 등)을 정비해 만경강 철교를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 계획이다.
시는 철길 기반시설 조성을 위해 예산을 확보하고 실시설계, 하천점용허가 등 행정절차를 거쳐 올해 조성 완료를 목표로 추진할 방침이다.
옛 만경강 철교는 지난 1928년 건립된 역사적 유산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호남평야에서 생산된 쌀을 수탈하는 데 사용됐다.
철교는 지난 2011년 마지막 철도 운행을 마치고 폐철교로 남았고, 정부는 옛 만경강 철교에 투영된 역사적 상흔을 잊지 않기 위해 지난 2013년 12월 20일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했다.
총면적 2487㎡의 만경강 철교는 현재 완주군이 관리하고 있고, 비비정예술열차와 연계해 관광명소로 활용되고 있다.
전주시 관계자는 “상생 철길 조성사업이 마무리되면 만경강을 가로지르는 만경강 철교에 더 많은 전주시민이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완주군과의 상생과 협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