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 고교학점제 담당자 연수 [충남에듀있슈]

특수교육 고교학점제 담당자 연수 [충남에듀있슈]

진로융합교육원, 충남진학교육지원단 배움자리
교육과정평가정보원, 온(On)시스템 현장지원단 워크숍

기사승인 2025-04-14 14:52:22
충남교육청 “1명의 학생도 소외되지 않고 자기주도 성장 지원” 

충남교육청은 지난 11일 청 내 제1회의실에서 ‘2025 특수학교 고교학점제 업무담당자 역량강화 배움자리’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충남교육청은 지난 11일 청 내 제1회의실에서 ‘2025 특수학교 고교학점제 업무담당자 역량강화 배움자리’를 개최했다고 14일 밝혔다.  

배움자리는 도내 특수학교 교감, 고교학점제 업무 담당 교원, 특수교육 고교학점제 현장지원단 등 35명이 참석한 가운데, 특수교육대상학생이 고교학점제 내에서 소외되지 않고 자기 주도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안을 공유하는 취지로, 세심한 지도 전략 등이 논의됐다. 

이날 배움자리에 참석한 한 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이 학점 이수를 통해 실질적인 학업 성취와 자립의 힘을 키울 수 있도록 최소 성취 수준 보장의 필요성과 운영 방향에 대해 확실히 이해하게 되었고, 전문성과 실천 역량을 한층 더 다질 수 있었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정은영 초등특수교육과장은 “고교학점제가 지향하는 학생 중심 교육은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게도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면서 “모든 학생이 각자의 속도와 방식으로 배움의 길을 걸어갈 수 있도록 충남교육청은 늘 함께하겠다”라고 전했다. 

충남교육청은 앞으로도 특수교육 대상 학생을 위한 포용적이고 따뜻한 교육 환경 조성에 지속적으로 힘쓸 예정이다.
 

진로융합교육원, 충남진학교육지원단 배움자리 

충남교육청진로융합교육원은 지난 12일 충남진학교육지원단 204명을 대상으로 ‘2025 충남진학교육지원단 배움자리(2차)’를 운영했다.

충남교육청진로융합교육원은 지난 12일 충남진학교육지원단 204명을 대상으로 ‘2025 충남진학교육지원단 배움자리(2차)’를 운영했다고 밝혔다.  

이날 배움자리는 충남 진학교육 사업에 큰 비중을 차지는 진로진학상담과 진로진학강의를 내실있게 운영하기 위한 방법과 절차를 안내하고, 역량을 기르기 위해 ▲상담지원 및 강사지원 행정사항 안내 ▲찾아가는 진학상담교실 운영방법 및 학교생활기록부를 기반한 진학상담기법 ▲교육공동체 대상별 강의기법 및 강의ppt 구성방법 등으로 구성됐다. 

도내 최고의 진학전문가로 구성된 ‘충남진학교육지원단’은 진학교육과 대입전형을 연구하면서 학교 현장의 진로진학교육을 이끌어 가는 충남 진학교육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원단은 3개 과제, 14개 세부 추진 과제인 상담센터 운영지원, 대입정보박람회, 찾아가는 진학상담교실, 면접대비 지원, 진학교육연수, 진학교육 설계 및 강사 지원, 자료개발, 온라인 콘텐츠 개발 등에서 적극적으로 활동하게 된다. 

고은자 원장은 “‘학교현장을 지원하는 진로진학교육’ 실현에 큰 역할을 담당해 줄 충남진학교육지원단의 진학 전문성과 열정에 감사한다”며, “진학교육 사업의 핵심이 되는 상담과 강의 분야 전문성 신장으로 촘촘한 학교 현장 지원에 이번 배움자리가 내실을 기할 것으로 기대한다” 고 밝혔다.  


교육과정평가정보원, 온(On)시스템 현장지원단 워크숍 

충남교육청교육과정평가정보원의 ‘온(On)시스템’의 현장 안착과 확산을 위한 현장지원단 워크숍 모습. 

충남교육청교육과정평가정보원은 지난 11~12일 디지털 기반 학력 향상 프로그램인 ‘온(On)시스템’의 현장 안착과 확산을 위한 현장지원단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현장지원단은 초·중등 교원 34명으로 구성됐으며, 각 교육지원청과 학교의 요청에 따라 ‘온시스템’의 현장 적용을 돕기 위한 컨설팅과 지원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치고 있다. 

‘온(On)시스템’은 학생들의 기초학력을 높이고 학습 결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충남교육청이 자체적으로 개발한 디지털 기반의 학력 향상 프로그램이다.  

이 시스템은 한글 해득을 위한 ‘온한글’, 기초학력을 다지는 ‘온채움’, 문해력 향상을 돕는 ‘온생각’, 평가 기능을 지원하는 ‘온평가’ 등 네 가지 프로그램으로 세분화돼 학생 맞춤형 학습을 제공한다. 

현장지원단은 시스템 사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점검하고 개선책을 마련하는 한편, 교원과 학생이 시스템을 원활히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매뉴얼을 개발하고, 주기적인 교원 대상 연수와 지역별 맞춤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시스템 활용 과정에서 현장의 교사들이 겪고 있는 구체적인 어려움과 문제점을 진단하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워크숍에서는 특히 온시스템의 지속적인 개선 방향과 실질적 성과 확산 방안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며, 교사들이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견을 모았다.  

충남교육청은 이번 워크숍과 현장지원단의 다양한 활동을 바탕으로 학생들의 한글 해득 능력 및 기초학력, 문해력 신장에 실질적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홍석원 기자
001hong@kukinews.com
홍석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추천기사
많이 본 기사
오피니언
실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