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이 6·3 대선을 앞두고 경선 룰을 확정하자 비명(非이재명)계 대선주자들의 반발이 이어졌다. 김두관 전 의원은 편파적이라며 경선 불참을 선언했고, 무소속 출마 가능성까지 시사했다. 반면 김경수 전 경남지사와,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경선 룰에 유감을 표하면서도 당의 결정을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는 14일 대선 경선 방식을 ‘권리당원 50%+국민여론조사 50%’로 최종 확정했다.
완전국민경선제를 요구하던 당내 대선주자들은 이번 당의 경선 규칙 결정을 비판했다. 비명계 대선주자들은 완전국민경선이 민주당의 전통이며 권리당원 비중을 높이는 것은 이재명 예비후보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규칙이라고 주장해왔다.
김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계엄과 내란이라는 혼란스러운 상황이 정리되면 정치가 복원되는 시간을 빨리 앞당겨야 한다고 생각해 민주당에서 가장 먼저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며 “하지만 당은 2002년보다도 후퇴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진정 민주당의 미래의 모습이 무엇인지, 대한민국의 정치발전이 무엇인지,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고 국민의 희망을 만드는 일이 무엇인지 고민하려고 한다”며 “당분간 국민과 나라를 위해 제가 어떤 정치적 행보를 하는 것이 좋을지 조언도 듣고 깊은 숙고의 시간을 가질 계획이다”라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후 서울 여의도 대선캠프 사무실에서 긴급기자회견을 열어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이 무너진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국민들께 실망을 드렸다는 점이 더 뼈아프다”고 말했다.
다만 당 대선후보 경선을 놓고는 “당원이 결정한 만큼 무겁게 받아들인다. 오늘 이후로 가슴에 묻겠다”라며 “유불리에 연연하지 않고 당당하게 가겠다”고 강조했다.
김 전 지사는 MBC 라디오에서 “경선 룰 토론은 일종의 샅바 싸움”이라며 “샅바 싸움을 길게 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당이 결정하면 따르는 것이 당원의 도리”라고 말했다. 김 전 지사는 이 전 대표의 독주 체제가 굳어가는 상황에서도, 친노·친문 적자 후보로서 끝까지 경선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된다.
당은 오는 19일부터 27일까지 주말 이틀을 이용해 호남과 영남, 충청, 수도권 네 개 권역에서 순회 경선을 실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