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는 2036년 올림픽 유치를 위한 ‘전주 하계올림픽·패럴림픽 기본계획 수립 및 IOC 개최도시 선정 대응 용역’을 본격 추진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전북이 국내 유치 후보도시로 갖춰야 할 법적 요건을 이행하고,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개최도시 선정 과정에서 요구되는 기준에 전략적 대응을 위한 기반 마련에 초점을 맞췄다.
도는 이를 통해 전북의 올림픽 유치 역량을 체계적으로 증명하고, 대규모 스포츠 이벤트 유치 가능성을 실질적으로 타진한다는 방침이다.
용역의 주요 과업은 ▲유치 전략 마련 ▲하계올림픽·패럴림픽 기본계획 수립 ▲정부 및 IOC 심사자료 작성 ▲경기·비경기 시설 자료 제작 등이다.
이를 통해 전주 하계올림픽·패럴림픽 유치를 위한 종합적인 전략과 실행 기반을 마련을 위해 IOC 규정과 스포츠 이벤트 유치 흐름을 반영한 유치 전략을 세우고, 경쟁 도시와 비교 분석을 통해 전북만의 차별화된 경쟁력을 도출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용역의 핵심인 기본계획(마스터플랜)에는 대회 개최 개념과 종목별 경기장 배치, 인프라 확충 방안과 함께 교통, 숙박, 보건, 치안, 조직위원회 구성, 재정계획 등 운영기반도 종합적으로 담아낸다.
또한 개·폐회식, 문화행사, 자원봉사 운영계획, 패럴림픽 준비, 대회 이후 유산 활용방안 등도 포함해 실질적인 개최 청사진을 제시한다.
정부 심사 대응을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와 기획재정부 심사 절차에 필요한 개최계획서, 정책성 평가자료, 사전타당성 조사 보고서도 함께 준비하고 IOC에 제출할 유치의향서, 질의응답서, 주요 프레젠테이션 자료 등 대응자료도 착실히 준비할 계획이다.
주요 시설에 대해서는 경기장, 선수촌, 미디어촌, 방송센터 등 핵심 거점을 중심으로 현황조사와 활용계획을 수립하고, 건축 도면, 시각자료, 드론 촬영 영상 등 자료를 함께 제작한다. 이는 정부는 물론 IOC 심사에 활용될 예정이다.
이번 용역은 정부의 승인 및 경쟁에서 전북의 실질적 유치 역량을 입증하는 기반자료로 활용된다. 용역은 현재 입찰공고 중이며, 제안서 평가와 기술·가격 협상을 거쳐 5월 초 계약 체결 후 본격 착수된다.
전북자치도 관계자는 “이번 용역은 전북이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 유치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실질적인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출발점”이라며 “정부와 IOC의 심사 단계에 철저히 대비하고, 전북의 고유한 도시 매력과 문화 자산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올림픽 도시 모델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