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퇴근길 한강 위를 달리는 ‘수상 버스’가 곧 현실이 된다. 서울시가 추진해 온 ‘한강버스’ 사업이 시범 운항을 거쳐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중 정식 운항에 돌입할 예정이다.
그간 선박 제작 경험이 없는 신생 업체가 건조를 맡은 점, 선착장의 낮은 접근성 등 추진 과정에서 적지 않은 논란도 이어졌다. 서울시가 한강버스 도입을 위해 어떤 준비 과정을 거쳐왔는지, 그 사이 어떤 문제들이 제기됐는지 짚어본다.
23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지난 2023년 4월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수상 대중교통 도입 계획을 처음 공개했다. 이후 지난해 2월 한강버스 운항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기존 육상 교통의 혼잡도를 줄이고, 수상 공간을 새로운 교통 자원으로 활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시는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선박 제작과 항로 설계, 선착장 구축 등의 준비를 해왔다. 시민 공모를 통해 ‘한강버스’라는 명칭도 확정했다.
한강버스 도입 초읽기…선박 자격·접근성 개선은 ‘숙제’
사업 추진과 함께 이를 둘러싼 논란도 뒤따랐다. 대표적으로 한강버스 선박 제조업체 무자격 의혹이 있다. 선박 건조를 맡은 가덕중공업이 사실상 업력 1~2년 수준의 신생 업체라는 점이 알려지면서다. 대형 여객선 제작 경험이 없는데도 공공사업에 투입된 데 대해 자격 미달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시는 이에 대해 “현재 가덕중공업은 알루미늄 선박에서 가장 중요한 용접공 등의 전문인력을 협력 업체를 통해 확보했다”며 “4개 작업장을 임대해 정상적으로 선박을 건조하고 있다”고 해명한 바 있다.
선착장 접근성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현재 선착장 7곳(마곡, 망원, 여의도, 압구정, 옥수, 뚝섬, 잠실) 중 옥수를 제외한 6곳은 지난 1월 해당 위치에 배치가 완료됐다. 다만 일부 선착장이 한강공원 내부에 위치하다 보니 도보나 대중교통으로 이동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왔다.
시는 접근성 개선을 위한 버스 노선 신설 및 조정, 버스승강장 설치, 따릉이 거치대 부지 조성 등 보완책을 지난해 말 완료했다. 정식운항에 맞춰 버스 운행 및 따릉이 배치 등이 시작될 예정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휠체어 이용 등 보행 약자 이동 편의를 위해선 한강버스 내 휠체어 등 전용공간을 마련했다”며 “경사로와 점자블록도 다음 달 내로 설치 완료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실제 운항을 앞둔 지난달부터 여의도 인근에서 한강버스 101호, 102호 시범선이 시험 운항에 들어갔다. 한강버스는 총 12척이 도입된다. 올해 상반기 중 나머지 10척이 차례대로 한강에 인도될 예정이다. 시는 올해 상반기 내 정식 운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출퇴근 시간대 15분 간격의 운행 체계다. 운항 횟수는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