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J중공업이 한국항공우주산업(이하 KAI)과 고속상륙정 장비 국산화에 나선다.
HJ중공업은 지난 7일 KAI와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 및 통합기관제어장치 국산화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MOU에는 김지홍 KAI 미래융합기술원장(전무), 고광재 HJ중공업 상무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MOU를 통해 양사는 향후 방위사업청 주관으로 추진될 고속상륙정 배치-Ⅱ 공기부양정의 시뮬레이터 개발 사업을 위해 상호 기술 교류와 공동 업무수행을 추진하기로 했다.
고속상륙정은 무장 병력과 전차, 장갑차 등을 탑재하고 40노트(약 74㎞/h)의 고속으로 기동하면서 해군과 해병대의 상륙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일반 상륙정이 접근할 수 없는 갯벌이나 하천, 모래사장과 같은 지형에서도 임무 수행이 가능하고 수심에 상관없이 목표 해안에 접근할 수 있어 현대전에서 상륙작전의 개념을 바꿔 놓았다고 평가 받는다.
우리 해군이 현재까지 발주한 8척 전량을 HJ중공업이 수주, 건조했다.
고속상륙정의 CAMS는 현재까지 미국으로부터 전량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유지보수와 가동률 향상을 위해 국산화가 필요한 구성품으로 꼽힌다.
향후 시뮬레이션 기술을 실함에 적용하는 스핀오프를 통해 보다 안정적이고 검증된 실함 탑재용 CAMS 개발이 기대된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양사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고속상륙정 시뮬레이터와 통합기관제어장치 국산화 개발 사업을 준비한다. 또한 마케팅 활동과 공동개발 협력 방안 등을 함께 수행하고 향후 함정사업 전반으로 협력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HJ중공업 유상철 대표는 “국내 대표 항공우주 체계종합업체인 KAI와 손을 맞잡고 상륙작전의 핵심 전력으로 꼽히는 고속상륙정 장비 국산화 사업에 나서게 됐다”며 “국내에서 고속상륙정을 건조할 수 있는 유일한 방산업체로서 함정 부품 국산화에 적극 동참하여 국가 해상전력 증강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