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안전부는 12일부터 23일까지 103개 기관 주관으로 ‘2025년 상반기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올해 안전한국훈련은 재난 발생 시기를 고려해 △상반기에는 풍수해·지진 등 자연재난 △하반기에는 화재·산불 등 사회재난을 중심으로 진행한다.
최근 3년간 자연재난으로 특별재난지역이 선포됐던 관악, 파주, 익산 등 58개 지자체는 풍수해 훈련을 의무적으로 실시한다. 다만 최근 산불 피해가 발생한 안동, 의성, 울주 등은 피해복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훈련을 취소 또는 연기했다.
기관별로 보면 산림청은 충청남도, 금산군과 함께 산사태 재난에 대비해, 산사태 예보발령에 따른 주민 대피훈련과 국민행동요령 교육을 진행한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과 함께 지진으로 인한 댐 붕괴 상황 대비 훈련을 실시한다. 하류 지역 주민 대피훈련과 함께, 드론과 원격조정무인잠수정(ROV)을 활용해 피해 점검 및 긴급복구를 진행한다.
한국도로공사는 집중호우로 도로비탈면이 유실되면서 차량 매몰, 연쇄추돌 및 기름유출로 이어지는 복합 재난상황 대비 훈련을 실시한다.
최근 인도, 일본 등에서 사상자가 발생한 낙뢰에 대비한 훈련도 실시한다. 전라남도 곡성군과 한국석유공사는 낙뢰로 인해 석유비축기지 지상탱크에 화재 발생·확산 상황을 가정해, 주민대피와 관계기관 협업체계를 점검한다.
행정안전부는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단에서 기관별 훈련 과정에 대한 컨설팅과 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개선 필요 사항은 재난 대응체계에 반영하고, 우수사례는 관계기관에 공유한다.
행안부 오병권 자연재난실장은 “지난 4월 광주 남구 소재 아동병원에서 인명피해 없이 전원이 화재에 대피할 수 있었던 것은 평소 교육과 훈련을 통한 발빠른 대응 덕분”이라면서 “재난 발생을 가정해 대응하는 훈련이 위급 상황에서 자신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최선의 대비책인 만큼, 이번 훈련에 국민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세종=김태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