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과대학 입학 정원 증원을 둘러싼 정부와 의료계의 갈등이 1년 넘게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와 사직 전공의들이 수련 환경 개선 방안을 놓고 회의를 했다.
15일 정부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지난 13일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대한의학회, 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수평위),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의료계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공의 수련 환경 자문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박단 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도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비공개로 진행된 첫 회의에선 향후 회의 방식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은 전공의들이 요구한 일명 ‘7대 요구안’ 중 하나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최근 “수련 환경 개선 등 현안에 대해 당사자인 전공의들이 의견을 적극 개진해 달라”고 공식 요청한 바 있다.
한편 사직 전공의 중 일부가 수련병원 복귀를 희망하면서 5월 추가 모집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대한수련병원협의회가 최근 전공의 1만여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상당수가 복귀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 전공의 모집은 3월과 9월, 연 2차례 실시하는데 3·4년 차 레지던트는 내년 2월 전문의 자격을 취득하려면 늦어도 이달 말까지 복귀해야 한다. 현행 규정상 전공의들은 수련 공백 기간이 3개월을 넘으면 전문의 시험 응시가 불가능하다.
다만 전공의가 얼마나 돌아올지는 미지수다. 올해 초에도 특례를 내걸고 전공의 복귀를 유도했지만 지원율은 2~3%대 수준이었다. 모집 기간 연장과 한 번의 추가 모집을 거치고도 현재 수련 중인 전공의는 12%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복지부는 “사직 전공의들의 복귀 의사가 공식적으로 확인되면 이달 중 추가 모집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