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 만에 TK·PK까지 잡은 李대통령, ‘실용·속도’로 지지 굳혔다

두 달 만에 TK·PK까지 잡은 李대통령, ‘실용·속도’로 지지 굳혔다

부울경·대구 경북서도 과반 긍정평가
지역 맞춤형 공약 가시화…‘해수부 이전’ 민심 반영

기사승인 2025-07-17 06:00:07
이재명 대통령이 4일 대전컨벤션센터에서 타운홀 미팅 형식으로 열린 '국민소통 행보 2탄, 충청의 마음을 듣다'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율이 60% 중반에 안착했다. 수도권과 호남은 물론 전통 보수세인 부산·울산·경남과 대구·경북에서도 이 대통령의 지지율이 과반을 넘어서면서 여권 내에서는 “새 정부 출범 두 달 만에 ‘실용·속도’ 브랜드가 자리 잡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은 취임 후 처음 조사된 6월 둘째 주(58.6%)에서 꾸준히 상승하는 이례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한길리서치의 지난 12~14일 조사 결과에서 이 대통령 긍정 평가는 64.2%에 달했다. 특히 부산·울산·경남(PK·60.8%)과 대구·경북(TK·53.4%)에서도 과반을 넘어섰다. 

핵심 요인은 ‘지역 맞춤형 공약’의 가시화다. 대통령은 지난달 24일 국무회의에서 “해양수산부를 12월까지 부산으로 이전할 방안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해수부 이전은 PK 민심의 숙원으로 꼽히던 사안이어서 “선거용 구호”로만 여겨졌던 약속이 실행 국면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민심에 빠르게 반영됐다. 

이 흐름은 PK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이 대통령은 6월 이후 지방균형발전을 전면에 내세우고 전국을 돌며 타운홀 미팅을 열고 시민과 직접 소통하고 있다. 또 항만·조선업 특화 금융 지원, HMM(옛 현대상선) 매각 재검토 등 지역경제 현안을 수시로 점검해 “일하는 대통령” 이미지를 굳혔다는 평가다. 

여권 한 관계자는 16일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지역경제와 직결된 의제를 직접 챙기는 모습을 보여주고 타운홀미팅으로 시민들과 소통창구를 넓히면서 전통 보수지역에서도 지지율이 높게 나오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국민의힘은 혁신위원회를 둘러싸고 계파 내홍이 격화되며 보수층 결집에 실패했다. 첫 혁신위원장 사퇴에 이어 두 번째 혁신위도 ‘인적 청산’ 공방으로 삐걱거리자, 보수 성향 유권자 사이에서 “갈등이 혁신을 삼킨다”는 냉소가 확산됐다. 

여기에 ‘12·3 계엄사태’ 정치적 책임 공방이 장기화하면서, 국민의힘은 “계엄은 통치행위”라는 해묵은 논리만 반복했다는 역풍까지 맞았다. 여권 관계자는 16일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보수는 책임을 회피하면서 이 대통령의 보수 확장 행보에 힘을 실어줬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도층(63.6%)과 보수층(52.2%)이 동시에 과반을 넘어선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당장 체감되는 공약 실천이 ‘이념’보다 ‘실익’을 중시하는 중·장년층의 표심을 자극했고, TK에서조차 대통령 긍정률(53.4%)이 국민의힘 지지율(28.9%)을 거의 두 배로 앞질렀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대통령 지지율이 건국 이래 보기 힘든 구조적 지지로 전환하고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보수 텃밭에서 균열이 시작된 만큼, 국민의힘이 혁신 난맥과 계엄 프레임에서 벗어나지 못할 경우 지지층 이탈은 더 가속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여권 관계자는 “지역 밀착형 국정과제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면서 이 대통령의 긍정 평가가 상승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승은 기자
selee2312@kukinews.com
이승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