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여권에서 사실상 자진 사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권 초 안정적 국정을 위해서도 의혹 해소가 불충분한 후보자에 대한 이 대통령의 결단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17일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날 “두 후보자가 모두 부적절한 처신을 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며 “두 사람이 (거취에 대해) 스스로 선택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청문회를 마친 당일 밤 대통령에게 서면 보고가 올라간다"며 "청문회 일정이 마무리되는 주 후반까지는 여론을 지켜보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낙마 1순위로 지목되는 이들을 서둘러 낙마시킬 경우 언론과 야당의 칼날이 제2, 제3 후보자들에게 향할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자는 제자 논문 표절 의혹을, 강 후보자는 보좌진 갑질 의혹을 받고 있다. 강 후보자가 낙마한다면 현역 의원 중 인사청문회를 통과하지 못한 첫 사례가 된다.
특히 여권에선 강 후보자의 갑질 의혹에 대한 의혹을 심각하게 보고 있는 기류다. 보좌진에게 쓰레기 분리배출과 비데 수리를 지시했다는 논란에 이어 임금 체불 등 추가 의혹이 잇따르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지명 철회보다 후보자가 자진 사퇴하는 형식으로 국정 운영의 부담을 덜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날 민주당보좌진협의회 역대 회장단은 강 후보자에 대해 “감성팔이와 본질을 벗어난 자기방어에만 급급했다”며 “자진 사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범학계 국민검증단도 이 후보자에 대해 사퇴를 요구하며 “이재명 정부가 최소한의 상식마저 무시하는 우를 범하지 말 것을 강력하게 촉구한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도 사퇴 여론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 지도부는 일단 이번 주 청문회를 모두 마친 후 여론을 종합해 대통령실에 의견을 전달할지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우상호 대통령정무수석비서관은 이와 관련해 “일부 후보자의 경우 여론 동향이 매우 안 좋게 돌아가는 것도 그대로 대통령에게 보고하고 있다”고 말했다.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두 후보자를 겨냥해 “더는 국민을 열받게 하지 마시고 자진 사퇴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