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비상계엄’ 사태 관련 내란 혐의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약 80억원의 재산을 신고해 이달 재산공개 퇴지 공직자 1위에 올랐다.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45억원을 신고해 그 뒤를 이었다.
25일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이날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해 올해 4월 2일부터 5월 1일까지 신분이 변동한 고위공직자 54명의 재산을 전자관보에 공개했다. 신규 임용 18명, 승진 14명, 퇴직 19명 등이다.
윤 전 대통령은 총 재산 79억9115만원의 재산을 신고하며 퇴직자 1위를 기록했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3월 공개된 재산 신고액(74억8112만원) 대비 5억1003만원이 늘었다.
윤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명의의 서울 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비스타가 26㎡(약 8평)의 대지 지분과 164㎡(약 50평) 건물이 지난해보다 약 3억8000만원 증가한 19억4800만원으로 잡혔다.
또 배우자 김건희 여사 명의 예금으로 50억7855만원을 신고했다. 윤 전 대통령 명의 예금은 6억6369만원이다. 윤 전 대통령 모친은 독립생계 유지를 이유로 재산 고지를 거부했다.
최상목 전 부총리는 45억1483만원을 신고하며 퇴직자 재산 2위에 올랐다. 이 중 건물은 21억2440만원으로 서울 용산구 동자동 아파트 13억원, 용산구 이촌동 아파트 전세임차권 6억원, 종로구 연건동 아파트 전세임차권 1억원 등이다.
예금 18억3384만원, 증권 7억3096만원, 경북 봉화군과 강원 강릉시 등 토지 6279만원, 콘도 회원권 500만원 등도 신고했다. 채무는 3억원이다.
최 전 부총리는 지난 5월 1일 국회 본회의에 탄핵안이 상정된 직후 사의를 밝혔으며, 한덕수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곧바로 사표를 수리했다.
대선 출마를 위해 지난 4월 11일 대구시장직에서 물러난 홍준표 전 시장은 42억6370만원을 재산으로 신고하며 그 뒤를 이었다. 서울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 26억3300만원, 예금 12억399만원, 콘도 및 헬스 회원권 9057만원 등을 신고했다.
또 대선 출마를 위해 지난 4월 8일 고용노동부 장관직을 내려놓은 김문수 전 장관의 재산은 10억9043만원이었다. 서울 관악구 봉천동 아파트 4억8000만원, 예금 5억6081만원, 증권 660만원 등이다.
신고 재산이 가장 많은 현직 고위 공직자는 이준일 주이라크대사로 52억7916만원을 신고했다.
이 대사는 본인과 배우자 명의 서울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 등 24억여원의 부동산과 부부 및 자녀 명의로 27억여원 규모 예금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정아 원자력안전위원회 사무처장이 44억1천521만원을 신고해 뒤를 이었다. 조 처장은 본인과 배우자 명의 경기도 안양시 아파트와 전북 익산시 논밭 등 18억3000만원의 부동산과 본인 및 가족 명의로 25억6000만원 상당의 예금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정기홍 외교부 공공외교대사도 41억7천461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본인 명의 서울 용산구의 아파트와 충남 천안의 복합건물 지분 등 부동산이 36억여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